본 연구는 의류 제품 구매 시 섬유 인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인식, 소비자가 반응하는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분석을 통하여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 제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이론적 고찰을 위해 국내외 논문, 학술지, 전문서적, 간행물 등을 활용하였으며 객관적 자료를 위한 통계는 관련된 분야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실증 조사를 위하여 인브랜드 인식과 영향, 구매기준의 소비자 반응을 설문조사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빈도분석과 다차원 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류제품 구매 시 남, 녀 모두 섬유 인브랜드를 인식하고 구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스포츠 웨어, 정장의 순으로 제품 구매 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제품 구매 시 구매기준은 남, 녀 모두 시각성(색상, 스타일, 독특함, 다른 옷과의 조화)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감정(소비자의 경험, 느낌, 품위, 유명상표, 타인의 반응) 이 높게 조사되어 기능성(관리, 소재, 기능)은 의류제품 구매에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의류제품은 소비자에게 기능적, 실용적인 측면 이외에 다양한 표현적, 상징적, 감정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측면이 중요시 되는 제품으로 섬유 인브랜드를 의류제품 구매 시 인식하지만, 제품 유형과 요인에 따라 의류제품은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의 관여정도가 비교적 높은 제품임을 검증하였다.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 분석결과 인지도 순위가 높은 섬유 인브랜드 이미지는 기능성, 상징성, 신뢰성, 전문성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심미성과 차별성이 낮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인지도 순위 중하위는 모두 심미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7개 섬유 인브랜드 모두 차별성에서 모두 낮은 측정값을 나타내어 차별화된 아이덴티티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지도에 따라 요인별 인브랜드 평가의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섬유 인브랜드의 정보나 지식이 적을수록 인지도에 따라 브랜드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감성적 고관여 의류제품에 있어서 섬유 인브랜드의 이미지가 의류제품을 인식하고 평가하고 선택하는데 중요한 고려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섬유인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force the textile in-brand image and to suggest a plan for activation through analyzing the consumer recognition on textile in-brand and the textile in-brand to which consumers respond when purchasing a clothing product.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were utilized theses, academic journals, specialized books, and publications at home and abroad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both men and women were surveyed to purchase with recognizing textile in-brand given purchasing the clothing product. They were indicated to recognize that there is the influence in case of purchasing product in order of sports wear and suit. As for the purchasing criteria given buying the clothing product, both men and women were shown to be the highest in visuality(color, style, particularity, harmony with other clothing). The next was surveyed to be high in emotion(consumer’s experience, feeling, dignity, name brand). Functionality(management, material, function) was surveyed not to have great influence upon purchasing. This was verified that the clothing product is the one that is emphasized the aspect of satisfying diversely expressive, symbolic, and emotional needs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and practical aspect as for consumers, thereby being recognized the textile in-brand given buying the clothing product, but is the product with consumer’s relatively high involvement level in buying the clothing product according to product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ile in-brand image, the textile in-brand image with high awareness level was indicated to be generally high in functionality, symbolism,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However, the aesthetics and differentiation were surveyed to have low ratio. Both middle and low groups in awareness level were surveyed to have the highest ratio in aesthetics. Yet, all of the 7 textile in-brands were shown the low measurement value in differentiation, thereby having been surveyed to be needed the differentiated identity. The difference in the in-brand evaluation by factor was obvious according to awareness level. It was surveyed that the less information or knowledge on textile in-brand leads to tending to evaluate brand according to awareness. This outcome suggested that the textile in-brand image can become an important considerate element in recognizing, evaluating and selecting the clothing product in terms of consumers’ clothing product with high involvement, and proposed an effective plan for implementing textile in-brand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