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사진의 발명과 죽음의 재현
3. 사진 안의 죽음
4. 지각과 지식이 만든 시간적 간극
5. 결론에 대신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진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사례 연구
人文科學硏究
2019 .01
별 사진 찍기
수필미학
2020 .06
버려진 사진
수필미학
2020 .03
[사진] 잃어버린 사진계를 찾아서
황해문화
2016 .09
사진을 보다가
월간에세이
2018 .04
기술이미지의 수용론: 미셀 프리조의 사진 수용론을 중심으로
美學(미학)
2023 .03
[사진, 마음을 담다] ‘좋은’ 사진이 아닌 ‘좋아하는’ 사진
월간에세이
2023 .04
[사진] 사진의 미래 혹은 종말 : 사진과 사진을 둘러싼 것들
황해문화
2017 .09
[사진] 갈 곳 없는 사진들, 가지지 못한 사진미술관
황해문화
2016 .12
죽음 교육 수강 대학생이 인식한 죽음 태도 변화 연구
대학교양교육연구
2024 .08
[사진] 변화하는 사진 패러다임
황해문화
2015 .12
[사진] 인공지능 시대의 사진
황해문화
2016 .06
재현 예술작품으로서의 사진
美學(미학)
2017 .01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철학
2017 .08
시간의 흔적, 시선의 발견 : 마르셀 프루스트와 사진
인문논총
2023 .02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죽음의 자유와 도덕
사회와 철학
2015 .10
웰다잉과 실존적 의사소통
인문과학연구
2022 .03
사진으로만 남은 사람
수필미학
2022 .06
[사진] 사진은 대통령의 7시간을 증명할 수 있을까
황해문화
2017 .03
정근식·강성현 저, 『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비교한국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