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재조일본인 연구의 필요성
Ⅱ. 재조일본인의 존재형태와 특징
Ⅲ. 재조일본인 연구의 동향과 쟁점
Ⅳ. 재조일본인 연구의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조일본인’ 사회의 형성과 연구 논점에 관한 시론(試論)
일본연구
2020 .01
일본인의 식민주체로서의 기억과 그 표상
황해문화
2015 .09
식민지 군중의 “길거리 정치”와 식민자의 공포 (1920-1929)
도시연구
2018 .04
지도의 변화를 통해 본 식민과 민족의 기원
현대사상
2021 .07
후기식민 70년, 피식민주체의 기억과 표상 : ‘헬조선’의 계보와 쾌락장치로서의 민족서사
황해문화
2015 .09
탈식민으로서의 ‘되받아쓰기’와 식민성
비교문학
2018 .02
Orientalism or Pragmatism? Irishness and Colonial Encounter in the British Military Sphere
동양학
2017 .01
Sport from Imperial Japan to Postcolonial Korea: Dr. Lee Sangbaek and his Participation in the Olympic Mo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0 .08
일제의 국책 다큐멘터리 <남진 타이완南進臺灣> 속에 나타난 타이완 재현과 식민의식
중국문학연구
2019 .01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 여성의 위상과 식민지주의 - 조선 간행 일본어 잡지에서의 간사이(韓妻) 등장과 일본어 문학
日本思想
2017 .01
식민말기 비평의 변증법적 관점 연구
반교어문연구
2017 .01
이영호의 아동소설 『거인과 추장』에 나타난 탈식민성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2017 .06
The Identity of the Second Generation Colonizers: Focused on Female Colonizers
여성과역사
2017 .01
재조일본인의 가정담론 형성과 식민지주의 : 조선에서 개최된 가정박람회(1915)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8 .04
在朝鮮日本人浅川伯教 · 巧兄弟と柳宗悦の朝鮮伝統文化理解の特質 : 初期の活動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18 .11
『조선(朝鮮)の특산(特産)』으로 보는 일제강점기 식품 특산물 현황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9 .01
식민지배 과거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역사와실학
2015 .11
1920년대 일본의 인구문제와 이식민론(移植民論)
동북아역사논총
2019 .09
[한국근대Ⅱ] 이미 익숙해진 새로움에서 나아가기 위한 모색: 2018~2019년 식민지기(1910~1945)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학보
2020 .09
일제강점기『경성일보(京城日報)』의 재조일본인 구연동화와 식민정책
일본어문학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