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문제의 제기
II. ‘창법적’ 폭력과 동아시아 냉전·분단체제
III. 탈냉전과 예외 지대
IV. 맺는말: 탈냉전과 신냉전의 기로에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냉전 시대 연구의 심화 작업, 그러나 냉전 시각에서 벗어났는가?
통일과 평화
2022 .12
새로운 냉전이 시작되는가?
월간 시대
2019 .07
최근 미·러 관계와 신냉전 가능성
계간 외교
2015 .01
냉전기 북한의 상상 지리와 ‘평양 선언'
통일과 평화
2020 .01
포스트냉전 시대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의 이상과 현실 : 동아시아시대 한국의 지정학적 운명 극복을 위한 길
국가안보와 전략
2017 .01
신냉전시대의 국가 환경 대전략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2 .09
영화 〈장진호長津湖〉가 소환한 냉전과 고별한 냉전
뉴 래디컬 리뷰
2022 .12
‘전후’와 폭력
일본연구
2015 .01
[제2장] 신냉전 개념을 통해 본 국제질서
국제관계연구 시리즈
2024 .02
중국-북한 동맹관계의 실체와 특수성
현대중국연구
2021 .09
2・28민주운동과 탈냉전의 흔적
대한정치학회보
2023 .05
美, 新전략을 통해 中과의 냉전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 제기
이슈리포트
2024 .07
[제4장] 미·중 전략경쟁 시대 동아시아 신냉전과 한반도 정전
국제관계연구 시리즈
2024 .02
[제7장] 신냉전 담론과 한국의 국가전략
국제관계연구 시리즈
2024 .02
‘냉전’과 ‘열전’의 지역적 기원 : 유럽과 동북아 냉전의 비교 역사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6 .12
냉전이 이끈 우주에서의 경쟁
국방과 기술
2019 .12
1948~50년 사회주의진영의 평화론과 평화운동의 동아시아적 수용과 변용 : 국가별 사례 비교
동북아 문화연구
2019 .03
구호물자에 담긴 냉전 : 주한 케아(C.A.R.E.)의 패키지로 살펴보는 냉전과 인도주의
통일과 평화
2020 .01
중국의 귀환: ‘신냉전’ 그늘 속 동아시아론의 고뇌
기억과 전망
2022 .12
동아시아담론에 대한 비평적 회고와 전망 : ‘의지적 낙관주의’와 ‘미래사적 방법론’의 활용
아세아연구
201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