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왜 주역의 자연관인가
Ⅱ. 현대 자연관과 환경문제의 심화
Ⅲ. 주역과 자연을 스승으로 삼는 수행
Ⅳ. 주역과 탈현대 자연관
참고문헌
Foreign language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분석심리학의 동시성원리와 『주역』의 통(通) 개념
철학∙사상∙문화
2015 .01
심종문 湘西 문학세계가 지닌 생태여성주의의 가능성
중국문화연구
2016 .11
Man and Nature
인간연구
2017 .01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자연관: 그 형성배경과 공과 그리고 그 대안
환경철학
2017 .06
기호학을 통한 『주역』의 이념과 감정 분석: 무왕 서사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21 .09
『周易』의 ‘時’에 대한 고찰
인문학연구
2016 .06
유럽의 생태주의 흐름과 괴테의 자연관
인문과학
2021 .08
Die teleologische Naturidee bei Kant und Schelling
환경철학
2019 .01
의미의 자연과 사실의 자연 -노자의 경우
동서철학연구
2018 .01
기포드 강좌에서의 새로운 자연관이 신학에 미치는 함의 연구 : 바버, 미즐리, 브룩 & 칸토어를 중심으로
신학과 사회
2022 .08
정치 행위의 메뉴얼(manual)로 읽는 <주역>
동서철학연구
2023 .03
『周易』에 내재한 종교성과 현대적 의의
철학∙사상∙문화
2017 .01
유가 천명의 역학적 해석- 천명과 인성론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대동철학
2018 .09
뵈메의 관점에서 본 모리스 『에코토피아 뉴스』의 자연관 ― 자연 찬미 속 생태적 자연미학의 흔적들
철학탐구
2024 .11
이규보의 자연관-한문교육에서 교육적 의미와 관련하여-
漢文敎育論集
2020 .01
≪주역≫의 상(象)에 대한 미학적 분석
동아인문학
2017 .03
장욱진 예술세계에 나타난 道家의 생태미학
양명학
2022 .03
주역과 천문의 결합, 괘기상수역론 고찰
도교문화연구
2015 .11
화택규(火澤睽)의 과학적 해석
동서철학연구
2018 .01
자연과의 공생과 연대, 그리고 제휴기술 : 셸링의 자연철학과 블로흐의 기술철학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