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타이완과 홍콩은 하나의 중국인가?
식민과 냉전의 중첩 사이에서
‘일국양제’라는 흥미로운 발명 또는 허구
냉전의 박물관에서 아시아공동체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은 어떤 국가가 될 것인가 : 타이완 · 홍콩 문제를 보는 한 가지 시각
황해문화
2016 .09
타이완의 언어
한국어사 연구
2017 .03
어느 본성인 시인의 타이완의식 일면 고찰 — 자오톈이(趙天儀)의 《삿갓(笠)》 게재 시를 중심으로
중국문학연구
2019 .01
[대담] 김수영 시 읽기 (3)
푸른사상
2022 .03
[대담] 김수영 시 읽기 (6)
푸른사상
2022 .12
[대담] 김수영 시 읽기 (5)
푸른사상
2022 .09
[대담] 김수영 시 읽기 (4)
푸른사상
2022 .05
[대담] 김수영 시 읽기 (8)
푸른사상
2023 .06
[대담] “우리 얘기 써줘서 고마워요”
자음과모음
2016 .06
[대담] 아시아에서 ‘근대중국사상의 흥기’와 사상 회통 : 왕후이[汪暉] 초청 대담
황해문화
2024 .09
대담-통일시대의 교육과 목회
세계와선교
2015 .06
홍콩은 우리 한복판에도 있다 : 백원담·웡익모 대담
황해문화
2019 .12
Ep.5 타이완의 창문을 가져올 수는 없어서
트래비 Travie
2025 .05
[신학 대담] “로잔” Q & A
신학지남
2024 .07
예쓰(也斯)의 문학 속에 나타난 홍콩의 지리공간과 도시문화 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2018 .01
인간적인 삶이 가능한 성숙한 사회를 위한 가치 탐구 : 김경동, 『사회적 가치: 문명론적 성찰과 비전』(푸른사상, 2019)
철학과 현실
2020 .06
[월드 트래블] 홍콩의 중심을 걷다 : ‘센트럴’로 읽는 지금의 홍콩
여행스케치
2023 .04
타이완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다 - 타이완영화 《너 없인 못 살아》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지
2017 .01
[대담] ‘원청[文城]’에서 살아가기 또는 글쓰기 : 위화[余華] 작가 초청 대담
황해문화
2023 .12
타이완 원주민족 신화와 전통주거문화의 상관성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