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빅터 피게로아 클라크 지음, 정인환 역, 『살바도르 아옌데: 혁명적 민주주의자』(서해문집, 2016)
서양사론
2017 .03
조선공산당 다시 부르기, 반복이 아닌 새로 고침을 위해 : 『조선 공산당 평전』/ 최백순 지음/ 서해문집 / 2017
황해문화
2018 .03
최승완, 『동독민 이주사 1949-1989』(서해문집, 2019)
서양사론
2020 .01
베를린장벽에서 38선을 보며 : 『동독민 이주사 1949~1989―분단의 벽을 넘어 또 다른 독일로 간 동독민 이야기』(최승완, 서해문집, 2019)
역사비평
2020 .05
“19세기 다음에는 20세기가 오고, 그 다음에는···· 19세기가 온다.”-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인류 최대의 재앙, 1918년 인플루엔자』(서해문집, 2010) -
대구사학
2021 .11
시대의 기후를 만드는 국어 수업을 꿈꾸며 - 《우리들의 랜선 독서 수업》(김병섭 외, 서해문집, 2021)을 읽고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1 .07
철학은 혐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 『혐오의 시대, 철학의 응답』 유민석 지음/서해문집/2019
황해문화
2019 .12
청년이 말하는 청년세대론, 이번엔 다를까? : 『급진의 20대』/김내훈/서해문집/2022
황해문화
2022 .06
옛 문집을 읽는 이유
월간에세이
2019 .06
서울이 기억하는 역사적 맥락, 도시 공간 ‘장소성’의 다양한 독해 - 연구모임 공간담화 · 도시사학회, 『서울은 기억이다』(서해문집, 2023) -
역사연구
2023 .05
마음으로 즐기는 아름다움과 그 이야기: 유강하 『아름다움, 그 불멸의 이야기』, 서해문집, 2015.
여성문학연구
2015 .01
주경철?민유기 외, 『도시는 기억이다. 공공기념물로 본 서양 도시의 역사와 문화』 (서해문집, 2017)
서양사론
2018 .03
김태웅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 서해문집, 2017.
역사교육
2018 .06
조선후기 문집 간행 및 유통 양상 재고
국문학연구
2021 .01
한국고전종합DB의 『한국문집총간』 분석 시각화 방안 연구
민족문화
2021 .03
문명과 야만의 기억 : 주경철·민유기 외 지음,『도시는 기억이다』, 서해문집, 2017
도시연구
2017 .10
재만 조선인 항일무장투쟁사 연구 심화를 위한 디딤돌 : 『간도특설대-1930년대 만주, 조선인으로 구성된 ‘친일토벌부대’』(김효순, 서해문집, 2014)
역사비평
2015 .02
검찰 개혁, 그 실패에의 의지 : 『검찰국가의 탄생』 | 이춘재 | 서해문집 | 2023
황해문화
2023 .06
[만화] 혹, 우리가 아직도 참호 속에 있는 것은 아닐까 : 자크 타르디의『그것은 참호전이었다』, 서해문집, 2017
황해문화
2017 .09
감염병과 인류, 그리고 진화 : 『농경의 배신』, 제임스 스콧 지음/전경훈 옮김/책과함께/2019_『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데이비드 콰먼 지음/강병철 옮김/꿈꿀자유/2017_『대혼란: 유전자 스와핑과 바이러스 섹스』, 앤드류 니키포룩 지음/이희수 옮김/알마/2010_『전염성 질병의 진화』, 폴 이월드 지음/이성호 옮김/아카넷/2014_『전염병과 인류의 역사』, 윌리엄 맥닐 지음/허정 옮김/한울/1992
황해문화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