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序論
2. 本論
3. 結論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上古에서 中古에 걸친 喩母의 变化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1 .11
『三國遺事』 「古朝鮮 條」 기록에서 ‘古’의 의미와 그 시간적 범위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1 .10
上古聲母構擬三則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1
상고⋅중고중국어 도의류 양상표현의 기원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1
≪経典釋文≫の音義に基づく16世紀朝・日の≪詩経≫翻譯比較 - ≪詩経諺解≫(1583~1593成立)と清原宣賢の≪毛詩鄭箋≫ 訓點本(1521)に表れた声母相違による意味派生の反映(1) -
동아인문학
2021 .06
『経典釋文』の音義に基づく16世紀朝・日の『詩経』翻譯比較 –『詩経諺解』(1583~1593成立)と清原宣賢の『毛詩鄭箋』訓點本(1521)に表れた声母相違による意味派生の反映(2)–
동양고전연구
2021 .09
20세기 이래 중국 上古音 연구의 성과 및 방향
중국언어연구
2021 .08
‘파(巴)’의 중국 상고음과 ‘벌레’, ‘뱀’의 어원
중국조선어문
2021 .09
한어중고음의 입성운미 ‘-k’와 조선한자음의 운미 비교 : ‘逼’자를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
2018 .11
한국한자어에 반영된 이른 시기 중국어 운모 층위 고찰
중국언어연구
2022 .12
漢語 中古音 異讀字 分析을 통한 中古音 層次 研究
중국문화연구
2015 .02
『日本書紀』における百済・新羅・高句麗の地名考察
日本語敎育
2022 .03
中古音 多音字의 陽聲 · 入聲 · 陰聲의 互用에 관한 考察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8 .03
上古音 *s[+nasal]-式 音節初 子音群(Initial Cluster) - 戰國~西漢時代의 楚地 출토문헌 위주로
중어중문학
2015 .04
上古至中古時期“與”和“給”的歷時競爭與共時分佈
중국문학연구
2015 .01
委字上古聲母考
중국언어연구
2016 .12
The phonological system of Huilin[慧琳]’s Yiqiejingyinyi [《一切經音義》] Xieshe[蟹攝]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23 .10
『中庸自箴』과 『中庸講義補』를 통해서 본 茶山의 文字訓?學 연구
漢文古典硏究
2022 .06
상고 중국어 연구에 있어 한국어 자료의 기여 가능성 탐색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