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손정우 (서울대학교병원) 김재광 (서울대학교병원) 오창섭 (서울대학교병원) 이우상 (서울대학교병원) 김대용 (서울대학교병원) 송창욱 (서울대학교병원)
저널정보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제19권 제1호(통권 제32호)
발행연도
2016.5
수록면
180 - 185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서론: 시술이 시행되고 있는 동안 시술실 안에서 환자를 관찰하고 돌봐야 하는 의료인은 table의 head side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간 조직검사(transjugula liver biopsy)나 경목정맥간내문맥간정맥단락술(tips)등의 시술은 table의 head side에서 장시간 시술이 이루어지고 그 동안 시술자가 받는 피폭선량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번 실험에서는 table의 head side에 이동형 차폐기구를 사용했을 때 산란선량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유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SIEMENS Artis ZEE Ceiling type장비를 이용하여 장비의 Direct position button 기능을 이용하여 SDD(Source Detector Distance) 120cm, STD(Source Table Distance) 60cm, TDD(Table Detector Distance) 60cm, Zoom size 48cm 조사야에서 phantom를 조사야 전면에 설치 후 이동형 차폐기구를 table의 head side에 위치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 그리고 X-ray tube를 감싸고 있을 때(n자형)와 시술자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술자를 감싸고 있을 때(u자형)로 나누어서 X-ray tube의 중심축에서부터 0°, ±30°, ±60°, 90°의 간격으로 거리 100cm, 150cm에서 높이 1m, 1.5m로 각각 5회에 걸쳐서 30초간 산란선량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나타내었다. 이때 조사량의 조건은 혈관조영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Celiac의 조건인 73Kvp, 100mA, 3.8ms, 5.7p/s로 고정하였다.
결과: 이동형 차폐기구를 사용했을 때는 사용하지 않은 것에 비해서 산란선량이 90%정도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동형 차폐기구를 n자형으로 사용했을 때와 u자형으로 사용했을 때를 서로 비교하면 높이 1m에서는 u자형은 0°에서만 산란선량의 감소를 보이는 것에 비해서 n자형에서는 ±30°까지 산란선량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목차

초록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512-001318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