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지
Ⅰ. 머리말
Ⅱ. 해양주권의 헌법적 의미와 관련 규정의 해석
Ⅲ. 해양주권과 국민의 기본권
Ⅳ. 배타적 경제수역의 범위 확정과 헌법
Ⅴ. 헌법재판소의 신한일어업협정 결정에 대한 재평가
Ⅵ.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09. 2. 26. 선고 2007헌바35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협정조항은 어업에 관한 협정으로서 배타적경제수역을 직접 규정한 것이 아니고, 이러한 점들은 이 사건 협정에서의 이른바 중간수역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할 것이어서 독도가 중간수역에 속해 있다 할지라도 독도의 영유권문제나 영해문제와는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지 아니하므로, 이 사건 협정조항이 헌법상 영토조항을 위반하였다고 할 수 없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7. 31. 선고 2004헌바81 전원재판부
가. 민법 제762조는 `태아는 손해배상의 청구권에 관하여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규정을 문면 그대로 해석할 경우 사산된 태아의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할 여지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산한 태아의 손해배상청구권이 부정되는 것은 법원이 민법 제762조를 해석함에 있어 생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7. 31. 선고 2006헌마711 전원재판부
가. 공직선거법이 확성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선거운동 소음을 규제하는 입법을 전혀 하지 않았다고 할 수 없고, 다만 소음제한 입법이 확성장치의 출력수 등 소음 제한에 관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는 등 불완전·불충분한 것인지가 문제될 따름이다. 따라서 확성장치에 의해 유발되는 선거운동 소음규제 입법에 관한 이 사건 심판청구는 부진정입법부작위를 다투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7. 1. 16. 선고 90헌마110·136(병합) 전원재판부〔각하·기각〕
1. 특례법 제4조 제1항은 비록 형벌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불처벌의 특례를 규정한 것이어서 위 법률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소급효를 인정할 경우 오히려 형사처벌을 받지 않았던 자들에게 형사상의 불이익이 미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경우까지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단서의 적용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은 그 규정취지에 반하고, 따라서 위 법률조항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3. 21. 선고 99헌마139·142·156·160(병합) 전원재판부
가. (1) 이 사건 협정은 우리나라 정부가 일본 정부와의 사이에서 어업에 관해 체결·공포한 조약(조약 제1477호)으로서 헌법 제6조 제1항에 의하여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그 체결행위는 고권적 행위로서 `공권력의 행사`에 해당한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12. 26. 선고 2008헌마419,423,436(병합) 전원재판부
가. 소해면상뇌증의 위험성, 미국 내에서의 발병사례, 국내에서의 섭취가능성을 감안할 때 미국산 쇠고기가 수입·유통되는 경우 소해면상뇌증에 감염된 것이 유입되어 소비자의 생명·신체의 안전이라는 중요한 기본권적인 법익이 침해될 가능성을 전적으로 부정할 수는 없으므로, 국가로서는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과 관련하여 소해면상뇌증의 원인물질인 변형 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역주권의 국가법과 국제법 관련성의 문제로서 독도영유권
헌법학연구
2016 .01
어업문제와 해양경계와의 상관관계 연구 - 관련 국제사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1 .09
한 · 중 · 일 분쟁수역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 연안국 및 기국의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
해사법연구
2024 .07
국제법상 해양관할수역을 갖는 독도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해사법연구
2018 .01
오세아니아 지역 국가의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정
해사법연구
2021 .01
유럽 지역 국가의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정에 관한 연구
해사법연구
2020 .01
아시아 지역 국가의 헌법과 바다 - 해양관할권을 중심으로 -
해사법연구
2019 .01
연안국 권리 사건을 통해 본 분쟁수역에서의 유엔해양법협약 제297조 및 제298조 제1항(b) 적용가능성 검토: 독도 및 한반도 주변수역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
2021 .12
'국가없는 사회'의 헌법
민주법학
2016 .07
국제해양법상 독도의 지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2015 .11
정치‧선거분야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초기 결정 분석 및 평가 — 구 국회의원선거법 제33조‧제34조의 위헌심판 사건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18 .01
미국에 있어 ‘살아있는 헌법’ 논의에 관한 소고
헌법논총
2016 .11
CONSTITUTIONAL REVIEW AND DEMOCRACY IN INDONESIA
유럽헌법연구
2015 .01
헌법이론과 헌법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5 .12
헌법은 죄가 없다
관훈저널
2025 .03
100년의 헌법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헌법상 농업관련 조항에 대한 개정론
유럽헌법연구
2018 .01
세계 각국의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정의 비교 연구
해사법연구
2021 .11
성립면에서 본 근대 입헌주의적 헌법과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의 비교
유럽헌법연구
2015 .01
헌법개정과 사회적 기본권
법학연구
2018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