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이광수적인 것’을 둘러싼 물음과 쟁점
2. 피랍과 미귀환의 상징, 반공인사 ‘이광수’의 복권
3. 문학사 기술과 근대적 기원, 그 편년사의 유혹
4. 이광수 복권의 딜레마와 남겨진 문제들 - 결론을 대신하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광수의 사상과 문학, 그리고 그의 동시대인들
춘원연구학보
2016 .12
해방 후의 이광수 문학
춘원연구학보
2015 .12
이광수, 신민회 그리고 량치차오
춘원연구학보
2018 .06
박종화와 이광수, ‘임진란’과 역사소설의 시계열화(時計列化)
춘원연구학보
2018 .06
토쿠토미 소호와 이광수 : 이광수가 소호에게 보낸 14편의 서간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2016 .12
일본에서의 『무정』에 대한 평가와 문학사적 의의
춘원연구학보
2017 .06
서울에서 이광수를 만나는 법
황해문화
2019 .12
이광수와 종교 특집에 즈음하여
춘원연구학보
2020 .04
응접실, 접객(接客)공간의 근대화와 소설의 장소 : 이광수의 『무정』과 『재생』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2017 .12
이광수의 나혜석과의 관계에 대한 문학적 대응
춘원연구학보
2017 .06
일제강점기말 문학연구 : 춘원 이광수의 「육장기(鬻庄記)」 다시 읽기
춘원연구학보
2017 .12
아버지로서의 이광수를 묻고 답하다
춘원연구학보
2024 .06
이광수와 근대 주체의 문제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2016 .06
중일전쟁기 일본에서 번역출판된 이광수 소설의 수용 양상과 이광수 표상의 역학
춘원연구학보
2023 .07
이광수 소설 『흙』의 영화화 양상 고찰
춘원연구학보
2018 .12
이광수 소설의 ‘질병’의 의미 고찰
인문과학연구
2019 .12
김윤식의 ‘이광수 해석’에 나타난 일본과의 관련성 고찰
춘원연구학보
2024 .06
2000년 이후 이광수 연구의 흐름에 대한 계량적 분석
춘원연구학보
2024 .12
1910년대 이광수의 해외체험 연구
인문논총
2015 .01
『무정』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
춘원연구학보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