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영화 상영의 목적
Ⅲ. 교육영화의 내러티브와 그 속에 재현된 질서
Ⅳ. 상영 환경
Ⅴ. 관객의 관람 양상
Ⅵ. 일본 교육영화 상영 양상과의 비교
Ⅶ.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60년대 문화영화 정책과 그 방향
역사연구
2020 .05
영화, 영사기 그리고 ‘청계천’-냉전기 영화상영 기술 확산의 비/합법성-
한국학연구
2024 .05
194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인 시나리오 작가의 영화 활동 연구
동양학
2017 .01
한국과 프랑스의 배급 상영시장 비교 연구 : 대형 영화 배급 상영의 문제와 대안
동서인문학
2018 .08
한국 독립영화의 생산과 재현 공간에 대한 연구 - 1980~1987을 중심으로 -
철학∙사상∙문화
2017 .01
[영화를 읽다-10회] 나는 좀 살아야겠다
월간에세이
2022 .10
영화를 찍다
수필미학
2016 .12
[영화를 읽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월간에세이
2022 .03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영화를 읽다] 해는 졌지만, 나는 지지 않았다
월간에세이
2022 .01
[영화를 읽다-19회] 굽이굽이 돌아도 멈추지 않는다
월간에세이
2023 .06
[영화를 읽다-3회] 영화 속 가장 기이했던 이미지
월간에세이
2023 .11
해방 초기 남한영화계의 재건 및 재편과 식민지 경험 및 역사의 관계성 고찰
국학연구
2017 .03
통영청년단의 순회상영과 관객의 영화관람(1921-1923)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5 .06
‘민족-영화’ 개념의 변천 : ‘조선영화’에서 ‘코리안시네마’까지
탐라문화
2017 .10
매체 전환의 의도와 효과-『세동무』, 『젊은이의 노래』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2020 .03
조선 반도 최초의 관광잡지『관광조선(觀光朝鮮)』연구-조선 반도 영화를 중심으로-
日本思想
2024 .08
중국영화시장 발전과 21세기 영화시장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국내, 중화권, 글로벌 영화시장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2 .03
영화조선 창간호에 나타난 ‘조선영화’ 담론의 혼성성
비교한국학
2020 .01
Planned Architectures of Cinematic Realism -Notes on Nonfiction Foreign Film in Colonial Korea-
사이間SAI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