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들어가는 말
II. 소외 계층을 위한 인문학의 필요성
III. 셰익스피어 작품을 활용한 재소자 교정 프로그램들
IV. 왜 셰익스피어인가?
V. 나가는 글
인용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세기 아동 문학 풍토와 램 남매의 『셰익스피어 이야기』각색 연구
Shakespeare Review
2017 .03
민족시인의 형성 : 왕정복고기와 18세기 영국의 셰익스피어
Shakespeare Review
2015 .09
셰익스피어 연구자의 관점에서 본 『스테이션 일레븐』의 셰익스피어 활용
현대영미소설
2021 .09
On Teaching Shakespeare
Shakespeare Review
2016 .09
셰익스피어 수업 살리기 방안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19 .01
[창작극] 셰익스피어의 그림자
Shakespeare Review
2023 .10
Shakespeare in Love (1998): Renaissance Playwright Shakespeare Adapted to a Hollywood Auteur in Reader’s Imagination
Shakespeare Review
2022 .04
국내 셰익스피어 유입사 다시 보기: 1894년경의 장봉환의 사례에 관하여
Shakespeare Review
2022 .06
피천득의 수필에 나타난 찰스 램의 영향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9 .06
디지털 셰익스피어: 미디어로 만나는 『로미오와 줄리엣』
영어영문학연구
2021 .12
셰익스피어 한국어 번역 100년사 : 번역 현황과 번역 태도의 변화 연구
번역학연구
2018 .10
『율리시스』에 드러난 셰익스피어: 찬탈자와 약화된 남성성을 중심으로
제임스조이스 저널
2022 .06
The Changing Images of Shakespeare and Writing in Shakespeare in Love (1998)
Shakespeare Review
2019 .06
A Possible Promise of Intercultural Shakespeare through Traditional Gut Performance : Tae-rin Kim’s Romeo-The Ssitgim (2015)
Shakespeare Review
2018 .03
일자에서 다수로: 디지털 판본과 인터넷 셰익스피어 전집의 진화
Shakespeare Review
2023 .02
셰익스피어 극에 나타난 당대의 사회상과 ‘좋은 사회’에 대한 비전
Shakespeare Review
2024 .06
『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에 나타난 극적 기법 - 점강법, 극중극, 토론을 중심으로 -
人文科學硏究
2018 .01
한국 셰익스피어 번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제언
Shakespeare Review
2019 .12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성품 연구 —전기적 사실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셰익스피어의 암살자들
Shakespeare Review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