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은유로서의 전선
서체가 아니라, 무엇을 쓰고 무엇을 말할 것인가?
무엇이 문제인지를 확인하는 것
나가면서 - 사유와 실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구적으로 행동하고 지역적으로 사고하라!
자음과모음
2017 .12
지구는 둥글다
PAPER
2020 .09
아픈 지구
시조시학
2022 .12
지구의 이해 외 1편
문학들
2023 .02
[건축] 사회적 건축, ‘아직 오지 않은’ 이름
황해문화
2018 .06
차가운 지구를 위해 뜨겁게 행동하기 고고!
PAPER
2019 .06
지구화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여러 관점 - 이론적 검토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0 .12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분단의 경계지역에서 통일 · 평화의 시험지역으로
황해문화
2018 .09
보존지구
자음과모음
2019 .06
[건축] 건축–페미니즘, 틈 읽기
황해문화
2017 .12
전 지구적 시각에서 보는 Me Too 운동
황해문화
2018 .06
지역과 건축의 간극을 메우는 ‘사람’
월간에세이
2024 .12
신석기시대 굴지구의 변천과 의미
호남고고학보
2020 .01
[건축] 한국건축, 앙가주망은 없다
황해문화
2018 .03
한국 ‘건축’의 지층 탐사와 남겨진 장들-박정현의 『건축은 무엇을 했는가: 발전국가 시기 한국 현대 건축』
문화과학
2021 .06
[건축] 건축(가) 명호의 정치학
황해문화
2015 .03
[건축] 건축 아르고스
황해문화
2018 .12
[건축] 건축의 정치성 : 자유공간과 ‘국가주도-아방가르드’ :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주제에 관한 소고
황해문화
2017 .09
홍익인간, 지구시민, 그리고 지구경영- 지구경영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 -
仙道文化
2017 .08
남・북한의 ‘수복지구’와 ‘신해방지구’ 편입 비교 - 영토 점령과 제도 이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