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서론
II. 탈주와 유랑
III. 수평적 접속을 통한 주체의 확장
IV. 창조적 주체로서의 노마드
V. 결론
Works Cited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Byron’s Poetics of Liberalism : Representation on Napoleon in Childe Harold’s Pilgrimage Canto Ⅰ and Ⅲ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2
Globalization and Korean Nomadism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1
[시] 순례 외 2편
황해문화
2021 .06
[엄마 아들 여행: 일본 시코쿠 순례 ②] 순례의 이면
PAPER
2017 .09
저작권료에 대한 바이런의 태도 변화
18세기영문학
2017 .01
모정母情 순례
시조시학
2017 .06
담딘수렌 우리앙카이(Damdinsuren Uriankhai)시에 나타나는 노마디즘 양상 연구
인문학연구
2020 .01
Cantos III-IV of Byron’s Childe Harold ’s Pilgrimage: Unfurling Bereavement, Tribulation, and Spiritual Awakening
문학과 종교
2018 .01
증산 순례길 제언
대순사상논총
2018 .12
순례와 기독교교육: 예수님의 삶을 따르고, 닮고, 따라 살면서
신학과세계
2020 .12
교회문헌에 나타난 순례와 순례지 및 순례사목
교회사연구
2022 .12
고든 차일드, 한 사회주의 고고학자의 탄생
사림
2018 .01
The Rise of the Byronic Narrator in Childe Harold II
18세기영문학
2022 .11
『풀잎』에 나타난 노마디즘: 바다에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0 .10
성지순례의 관광사적 의미 고찰
종교문화연구
2019 .06
순례에 대한 신학적-교회사적 의미: 경건주의를 중심으로
신학과세계
2022 .12
Byron’s Cannibalistic Imagination and the End of War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6 .02
성지순례 개념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 - 콘텐츠 투어리즘의 사례를 중심으로 -
종교문화연구
2019 .06
唐代 문인여행의 노마디즘(nomadism) 고찰 : 『太平廣記』 故事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6 .12
마이클 온다체의 잉글리시 페이션트에 나타난 탈영토화와 노마드적 상상력
영어영문학21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