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벼농사에 관한 연구성과와 경향
Ⅲ. 고양 가와지유적의 개관
Ⅳ. 가와지 2지구 출토 벼농사 자료 연구
Ⅴ. 맺음말 - 가와지 2지구 벼농사자료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Important Prehistoric Sites
Korea Journal
1977 .04
한국 선사시대의 자연환경 연구 : 선사유적지의 층위와 고생물과의 연관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976 .11
Prehistoric Culture
Korea Journal
1970 .10
Prehistoric Art
Korea Journal
1977 .04
한국선사고고학의 새로운 지평 모색을 위한 성찰
역사학보
2008 .09
연구 주제의 다각화와 깊이의 모색 : 2010~11년 선사고고학 연구의 동향
역사학보
2012 .09
언어상으로 본 선사 시대의 환하 문화의 관계 (1)
한글
1946 .07
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 시대 환하 문화의 관계 (6)
한글
1949 .04
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 시대의 환하 문화의 관계 (3)
한글
1946 .11
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 시대의 환하 문화의 관계 (5)
한글
1949 .01
언어상으로 고찰한 선사 시대의 환하 문화의 관계 (4)
한글
1947 .05
한국선사예술의 한 유형 -"얼굴" 조각품을 중심으로-
고문화
1978 .01
Prehistoric Petroglyphs of Korea
Korea Journal
1988 .06
선사어구를 통해 본 동아시아의 문화교류
동아문화
1984 .12
한국 선사$\cdot$원사유적출토 어구예(2)
고문화
1973 .01
한국 선사$\cdot$원사유적출토 어구예(1)
고문화
1971 .01
한국 선사$\cdot$원사유적출토 어구예(3)
고문화
1974 .01
김포지역 벼농사 개시에 관한 식물고고학적 검토
야외고고학
2019 .01
An Approach to the Human "Face" Sculpture of the Prehistoric Period
Korea Journal
1979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