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서설
II. 디자인보호법 제33조 제1항과 제2항 규정의 해석
III. 우리나라 및 유럽연합 사례의 검토
IV. 결어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대법원 2004. 6. 10. 선고 2002후2570 판결
[1] 의장이 동일·유사하다고 하려면 우선 의장이 표현된 물품이 동일·유사하여야 할 것인바, 물품의 동일·유사성 여부는 물품의 용도, 기능 등에 비추어 거래 통념상 동일·유사한 물품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하여야 할 것이고, 의장법시행규칙 제9조 제1항 소정의 물품 구분표는 의장등록 사무의 편의를 위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7. 28. 선고 2003후1956 판결
[1] 의장은 물품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고 물품과 일체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의장이 동일ㆍ유사하다고 하려면 의장이 표현된 물품이 동일ㆍ유사하여야 하고, 이 때 물품의 동일ㆍ유사성 여부는 물품의 용도, 기능 등에 비추어 거래 통념상 동일ㆍ유사한 물품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7. 8. 24. 선고 2006후138 판결
[1] 구 특허법(2006. 3. 3. 법률 제787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2항에 따라 어떤 발명의 진보성이 부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기술자를 기준으로 하여 그 발명의 출원 당시의 선행공지발명으로부터 그 발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지를 보아야 할 것이고, 진보성이 부정되는지 여부의 판단 대
자세히 보기특허법원 2003. 7. 11. 선고 2003허1611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11. 21. 선고 94후920 판결
[1] 의장의 본체는 이를 보는 사람의 마음에 어떤 미적 취미감을 환기시키는 것에 있는 것이므로 의장의 유사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이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대비할 것이 아니라 전체와 전체를 대비 관찰하여 보는 사람의 마음에 환기될 미감과 인상이 유사한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11. 26. 선고 98후706 판결
[1] 의장의 유사 여부는 이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대비할 것이 아니라 그 외관을 전체적으로 대비 관찰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상이한 심미감을 느끼게 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므로 그 지배적인 특징이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점에 다소 차이가 있을지라도 유사하다고 보아야 하고, 또한 의장법이 요구하는 객관적 창작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6. 6. 22. 선고 75후27 판결
의장에 있어서 객관적 창작성이란 다른 의장에서 구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나 여기서 구별된다 함은 물리적인 의미에 있어서 엄격한 구별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그 제품업계의 전문가의 눈으로 보아서 다른 의장과 구별되면 족하다 할 것이므로 의장법이 요구하는 객관적 창작성이란 과거 및 현존의 것을 기초로 하여 거기에 고안자의 새로운 미감을 주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6. 7. 28. 선고 2005후2922 판결
[1] 의장의 구성 중 물품의 기능에 관한 부분이라 하더라도 그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선택가능한 대체적인 형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물품의 기능을 확보하는 데 불가결한 형상이라고 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10. 14. 선고 94후1206 판결
가. 구 의장법(1990.1.1.3. 법률 제420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간행물에 기재된 의장”에 있어서의 기재된 정도는 그 의장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그것을 보고 용이하게 의장고안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표현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반드시 6면도·참고사시도 등으로 그 형상·모양의 모든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5. 5. 14. 선고 84후110 판결
가. 의장법상의 의장은 물품의 형상, 모양이나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이 시각을 통하여 미감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서 물품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고 물품과 일체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물품에 동일성이 없을 때에는 그 물품의 표현인 의장 또한 유사성이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6. 29. 선고 2000후3388 판결
[1] 의장이 동일·유사하다고 하려면 우선 의장이 표현된 물품이 동일·유사하여야 할 것인바, 물품의 동일·유사성 여부는 물품의 용도, 기능 등에 비추어 거래 통념상 동일·유사한 물품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하여야 할 것이고, 의장법시행규칙 제9조 제1항 소정의 물품 구분표는 의장등록 사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동종의 물품을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특허 등의 비(非)디자인자료가 디자인의 신규성상실사유 또는 창작비용이성 판단에 있어서 인용증거가 될 수 있는 지의 여부
과학기술법연구
2016 .01
특허로 답하다: Shall we mine patents?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8 .12
디자인-기술인용 특허정보를 활용한 애플社의 디자인권 전략 도출
지식재산연구
2017 .03
특허권자와 제3자 모두의 이익을 도모하는 특허표시 활성화를 위한 특허법 개정방안
성균관법학
2021 .12
주성분분석을 활용한 우리나라 주요 기업의 특허 경쟁력 분석
산업혁신연구
2020 .01
특허시장 활성화 및 특허활용에 있어서 특허관리전문회사의 역할 제고에 관한 연구
기본연구
2023 .12
특허정책의 경제적 측면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2019 .01
장벽특허의 무효화 분석을 위한 선행특허기술 발굴 시스템 개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7 .01
특허문헌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비특허문헌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
지식재산연구
2024 .06
국내 IT기업의 특허활동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통상정보연구
2016 .09
최적의 특허 존속기간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과 법
2023 .06
판례 분석을 통한 중국 디자인특허권 침해 판결에 영향을 끼치는 법률 요건 연구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
2023 .06
실험적 사용에 의한 특허권 제한 범위의 고찰- 미국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재산법연구
2017 .01
물류·유통 기업의 기술혁신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특허의 청구항과 인용문헌을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2018 .06
미국 디자인특허의 비자명성 분석에서실용특허 법리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고찰
홍익법학
2015 .01
컴퓨터프로그래밍 및 정보서비스 산업 특허의 경제효과 분석
산업재산권
2022 .12
디자인특허론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물류분야 특허경쟁력 분석
물류학회지
2017 .01
특허 가치와 국제 특허 출원 결정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 제약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혁신연구
2017 .01
특허 가치와 기업의 시장가치 변화에 관한 연구
지식재산연구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