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지하철 공간의 시적 코드와 그 변환
Ⅲ. 지하건물 공간의 시적 코드와 그 변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80-90년대 도시공간의 구조와 의미 : 최승호 시를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7 .12
고전서사에 나타난 지하세계의 형상과 의미
국어국문학
2020 .09
『우리 시대의 영웅』과 『지하로부터의 수기』 간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 페초린의 패러디로서 지하인
슬라브硏究
2015 .01
볼노프(O. F. Bollnow)의 공간론 연구
윤리연구
2016 .03
공간 접기
제3시대
2016 .09
한국 전통마을의 공간구성 재론(再論)
역사민속학
2019 .12
『지하로부터의 수기』와 『황야의 이리』에 나타난 호모 파티엔스 연구
노어노문학
2024 .06
문학텍스트의 공간구현을 통한 도시브랜드구축에 관한 연구—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의 서사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2017 .01
국어 정보화의 방향
새국어생활
2015 .06
윤동주 시의 공간과 시의식 연구
국어문학
2020 .03
도시복합공간의 장소성에 대한 이해- 정보기술, 이동성에 따른 공간인지 변화의 관점에서
담론201
2015 .01
모스크바 유대인 박물관 전시 코드 읽기와 ‘대조국전쟁’: 공헌과 공존의 코드를 중심으로
史叢(사총)
2015 .01
How can a Body Connecting to Locative Media Practice Urban Space?: “Feeling” as the Technique of Orientation in the Digital Age
도시인문학연구
2020 .01
공간의 사회적 구성과 한국공동체 공간의 공유
한국학논집
2022 .03
탐정과 도시공간 - 『염마』에 나타난 미로(迷路), 고도(高度), 지하(地下)와 탐색의 플롯
구보학보
2017 .06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지하로부터의 수기 연구
러시아학
2024 .05
이성교 시의 공간 분석 연구
한국민족문화
2016 .11
대만의 國語와 閩南語 코드전환 의도 연구 ―대만 시사토론 프로그램 중 코드전환 사례를 위주로
중국학논총
2023 .03
“空间转向”与叙事空间
중국학논총
2020 .01
한국춤의 공간 기호적 해석 연구
기호학 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