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프로야구 및 프로축구관중 1230명을 대상으로 프로스포츠팬 성향 및 경기관람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교차분석, 요인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프로스포츠 관람 동기요인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팬 서비스 요인(sale promotions), 시설환경 요인, 팀 이미지 요인, 팀 성적 요인, 입장료 요인 등 5개의 하위변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 프로스포츠 관중의 구매형태는 중간구매형태(medium users), 다량소비형태(heavy users) 그리고 소량구매형태(light users)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스포츠 관중의 84%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구매형태와 구매의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팬 서비스 요인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관중별(축구, 야구)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형태 및 구매의도, 인구통계학적 변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설환경 요인의 인식정도에 있어서 관중별(축구, 야구), 소득수준, 성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의도, 구매형태, 연령별, 직업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팀 이미지 요인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관중별(축구, 야구), 직업별, 성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의도, 구매형태, 소득수준, 연령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팀 성적 요인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관중별(축구, 야구), 직업별, 소득수준, 연령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의도, 구매형태, 성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입장료 요인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관중별(축구, 야구)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의도 및 구매형태, 인구통계학적 변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 to investigate th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attendance at Korean professional games and determined which factors were more prevalent and to examine the various factors in relations to differing demographic data gathered. 1,230 Korean professional sport fans from 4 randomly selected 1998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games and from 5 randomly selected 1999 professional soccer games were surveyed by means of a revised questionnaire, initially used in the United States by Schollaert & Smith(1987) and Hansen & Gautheir(1989).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determined by conducting a pilot study. The questionnaire utilized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as employed for ascertai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that each respondent attached to each item. The used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chi-square,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44.9% of the spectators which reported that they attend professional sport games at 3-9 times(Medium Users). Second, there were 84% of the spectators which reported that they would renew their ticket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different user groups with respect to their repurchase intentions. Third, sale promotions, physical environment(facility), team image, team record, ticket price factors which influenced attendance in professional sport gam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atings of factors between the pro-soccer fans and pro-baseball fans. Fourth, physical environment, team image, and team record factors which influenced attendance in professional sport gam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atings of factors among different levels of demographic groups of professional sport fans. Fifth, sale promotions, physical environment, team image, team record, ticket price factors which influenced attendance in professional sport gam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atings of factors by the different users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