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2017
2016
Abstract
1. 序論
2. 한 · 일 「地理」교과서 구성
3. 한 · 일 「地理」교과서 비교
4. 結論
参考文献/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태평양전쟁말기 한일 「地理」교과서 비교 考察 : 朝鮮總督府 『初等地理』와 文部省 『初等科地理』를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일제강점기 통신사 연구에 대한 일고찰 -『歷史地理: 朝鮮號』와 『日鮮史話』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20 .01
朝鮮總督府편찬 초등학교 〈地理〉교과서 그래픽자료 변화 考察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조선총독부 囑託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의 朝鮮人口 연구 및 특징
역사민속학
2021 .12
『增補新安誌』의 편찬 배경과 특징
역사와 담론
2021 .01
석전의 상징성과 향교 석전의 식민지적 변용
태동고전연구
2020 .01
朝鮮總督府 編纂 初等敎科書에 表象된 臺灣 ─ <지리> <일본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17 .01
16세기말 영남 관료 李庭檜의 인적 교류와 同官契의 실제
대동문화연구
2022 .06
고구려의 멸망에서 나당전쟁 발발로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05
朝鮮後期 詠史樂府의 협운 활용 양상에 대하여
한국한문학연구
2015 .03
李白과 李賀의 <將進酒>가 한국 한시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국학연구론총
2015 .01
『我邦疆域考』 역주·비평 (2) -四郡總考・樂浪考-
한국사학보
2020 .05
현대 일본의 시민사회와 ‘센카쿠제도’
일본문화연구
2022 .10
朝鮮總督府편찬 초등학교 〈地理〉교과서 삽화 변화 考察
일어일문학
2016 .08
조선후기 정조의 지리책문(地理策問)과 다산 정약용의 지리대책(地理對策)
기전문화연구
2022 .06
지리언어학 시각에서 본 중국 조선어방언 연구에 대한 생각
중국조선어문
2018 .09
韓国の初級日本語教育と待遇表現
국제언어문학
2016 .12
일제 식민지 시대 열녀 담론 연구 - 1910~1940년대 『經學院雜誌』 소재 열녀 기사를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연구
2016 .12
쇼와초기 주력산업의 전략적 의미 고찰 : 조선총독부 편찬 <地理>교과서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5 .08
로컬-지리적 자기인식으로서 철학 그리고 칸트의 교훈
동서철학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