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혁명』이 놓인 자리
3. 혁명과 ‘반항’
4. 희생양 되기와 르상티망의 역설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역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혁명’ 서사의 변화
인문논총
2018 .01
한국형 리버럴 아츠 컬리지와 리버럴 에듀케이션의 방향 -대구대학교 S-LAC의 특징과 미래 비전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8 .12
1910년대의 ‘혁명’ ㅡ 3·1운동 전야의 개념과 용법을 중심으로 ㅡ
개념과 소통
2015 .01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의 역사적 전개와 과제
역사연구
2015 .06
한나 아렌트와 프랑스혁명
역사와 담론
2016 .10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 논총
2017 .01
東學亂설화에 내재된 혼종적 시각과 혁명의 의미
우리말글
2018 .12
산업혁명을 바라보는 인문학의 눈
현대유럽철학연구
2017 .07
문화대혁명, 진보인가 반동인가? - 베이징 초기 홍위병 운동의 쟁점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
2022 .03
4차 산업혁명시대 콘텐츠와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
2019 .03
러시아 혁명과 중국공산당의 자기개조의 길 :反볼셰비키화를 넘어서
한중관계연구
2018 .01
푸코와 68혁명 : 사건이 아닌 경험, 신화가 아닌 비판으로서의 혁명
사회와 철학
2018 .10
동학농민혁명 지도자의 자기 증언에 나타난 주체의 형상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9 .01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농민혁명 서술에 대한 검토
전북사학
2021 .11
1960년대 중국공산당의 트로츠키 인식과 ‘灰皮書’
대구사학
2024 .09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국제무역 단계별 적용방안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2 .05
시민과 혁명의 시간 - 4.19와 박태순 소설의 문학사적 의미
구보학보
2018 .01
미국의 독립운동사 서술 경향과 특징 - “장기적” 미국 혁명과 “소외된” 건국세력을 찾아서 -
역사교육
2020 .12
4차 산업혁명 대응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 연구
주관성 연구
2024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