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1. 솟대쟁이패의 존재와 관심
2. 솟대쟁이놀이의 연행 내용
3. 솟대쟁이놀이의 복원과 재현 과정
4. 놀이의 재맥락화와 정통성 확보 과정
5. 놀이의 재현과 현대적 의의
6. 전승주체의 시대조응과 역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놀이를 놀이하라
창비어린이
2019 .12
잡기 놀이 외 1편
창비어린이
2015 .12
무사히 놀이 외
자음과모음
2022 .12
민속놀이의 유형에 따른 전승 현황과 특징
남도민속연구
2024 .01
‘전통적 놀이’의 범주와 분류체계 기초연구
무형유산
2024 .06
현대 놀이의 타락과 무용성에 대한 고찰 - 영화 〈종이달〉과 〈족구왕〉을 중심으로 -
인문연구
2017 .04
‘어떤’ 놀이와 문학
자음과모음
2015 .03
치기놀이의 양상과 유희적 의미
남도민속연구
2024 .01
로봇놀이 외 1편
시조시학
2017 .09
어린이 놀이의 개념과 전래놀이노래의 중요성
강원민속학
2021 .09
청 궁정 월령승응희(月令承應戱)의 전승 연구 Ⅰ - 청 궁정희 속 사마등(司馬騰)의 ‘옥마고사(玉馬故事)’ 전승을 중심으로 -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3 .04
새로운 놀이 생태계는 어떻게 가능할까?
창비어린이
2022 .06
놀이의 신학
신학과세계
2015 .06
놀이하는 어린이를 찾아서
창비어린이
2022 .06
농악12차 벅구놀이의 표현양상과 지역적 특성
비교민속학
2015 .08
일·놀이·노동과 인간
지식의 지평
2019 .05
비대면성 가상 공간 시대의 새로운 공동체를 재구축하는 놀이 상상력 연구
인간연구
2022 .04
잘 놀지 못하는 10대 : 몸의 현재성과 놀이의 상상력에 대하여
창비어린이
2015 .06
‘놀이와 유희’적 관점에서의 강강술래 연구
한국민속학
2017 .05
코로나19의 상황 속에서 관계적 놀이의 회복에 대한 이해
신학사상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