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어떤 지구의 인류세인가?
난지도 로그 데이터
물질대사와 기억상실증
난지도 특별시
더 큰 쓰레기장의 시간, 한국인 됨의 시간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작하자마자 끝날지도 모르는 ‘인류세’
철학과 현실
2023 .03
인류세 시대의 국가공간 다시 읽기
문화과학
2019 .03
인류세와 지구환경과학
철학과 현실
2023 .03
여섯 번째의 대멸종, 인류세
타우마제인
2023 .08
영화 〈노아〉2014에서 보는 인류세 시대의 휴머니즘
세계와선교
2024 .06
쓰레기장의 다크 에콜로지와 문학의 기록 : 난지도 소재 소설의 재발견
현대문학이론연구
2020 .01
인류세와 환경 인문사회학의 혁신
지식의 지평
2023 .11
인류세와 자본의 가치 운동, 그리고 행성적 도시화
문화과학
2019 .11
인류세, 인간과 자연의 공진화를 요청하다
철학과 현실
2023 .03
인류세, 인류 생존의 갈림길
철학과 현실
2023 .03
‘탈’인류세의 기후 생태 정치학을 위하여
문화과학
2022 .03
인류세의 (한국)문학 서설
한국문예창작
2020 .01
‘인류세’ 논의를 둘러싼 쟁점과 테크노-생태학적 전망
문화과학
2019 .03
인류세 시대 변화된 신체 감각과 물질로서의 몸 — 인간을 해체하는 소설의 전위
자음과모음
2024 .12
행성의 시학 인류세와 기후위기 시대의 시적 조건들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물질의 귀환 : 인류세 담론의 철학적 기초로서의 신유물론
문화과학
2019 .03
[미술_특집 - 인류세 시대의 지구학 모색] 인류세 시대의 지구학 담론과 지역적 실천 : 21세기의 생명평화운동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2021 .12
환상에서 현실로: 인류세, 기후변화, 문학적 수용의 과제
인문과학
2016 .01
인류세와 욕망 그리고 윤리적 삶
철학연구
2025 .02
‘섬’의 시각에서 본 인류세: 새로운 복원력 개념을 통한 대안의 모색
인간·환경·미래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