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
Ⅱ. 수사학이 유용한 이유들에 대한 검토
Ⅲ. 진리 및 올바름과 수사학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세계 속의 한국 수사학 : 한국수사학회 21세기 국제학술교류의 역사
수사학
2015 .09
중국 수사학의 의미와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수사학
2016 .04
『알렉산더 수사학』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철학논총
2015 .04
공자의 수사관(修辭觀) 고찰 : 『논어』를 중심으로
수사학
2015 .12
중국 수사학에 대한 소고 - 서양 수사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수사학
2020 .12
디지털 레토릭 구축의 타당성과 가능성 연구
수사학
2022 .12
말씀(logos)의 수사학과 공(空)의 수사학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수사학과 지눌의 선불교 수사학의 비교
신학사상
2021 .12
설득의 수사학에서 저항의 수사학으로 : 외모지상주의를 중심으로
수사학
2015 .09
Effects of Culture on L2 Writing: A Case Stud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2021 .12
에토스의 수사학
철학탐구
2018 .02
浅析汉语佛源熟语的辞格运用
수사학
2021 .09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에 전개된 해석학과 사랑의 수사학
철학논총
2016 .04
러시아 수사학 발전의 역사와 언어문화와의 상관성 연구
수사학
2020 .04
Comparative Organic Reading in the Responsive Rhetoric of Plato’s Gorgias, Aristotle’s Rhetoric, and Augustine’s On Christian Doctrine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06
수사학,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기독교 설교의상호적 이해와 적용
신학과 사회
2015 .01
한국 수사학과 텍스트 언어학 비교연구
언어와언어학
2016 .01
고대 로마의 연설가와 수사학 - 모의연설 교육의 의의 -
역사교육
2022 .06
러시아 수사학 발전의 현대적 경향 연구 - 현대 러시아 수사학 교육의 방법론 측면에서 -
수사학
2023 .04
아리스토텔레스의 파토스적 설득의 실현 기반
수사학
2016 .12
서구 수사학의 발전과 소멸에 대한 재조명
인문학연구
2024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