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엔터테인먼트를 통한 세인들의 성소수자 긍정인식 공감성 확대 필요성
Ⅲ. LGBTQ 72개의 공감대 Style 키워드와 기표들
Ⅳ. LGBTQ의 암묵적 글로벌모델구축과 장르별 전략
Ⅴ. LGBTQ표현 융복합 기법연구
Ⅵ.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성소수자 보도 분석 - 국내언론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
문화와융합
2023 .09
성소수자의 가족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질적탐구
2023 .06
성소수자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 .01
한국 개신교회 남성 페미니스트의 성소수자 지지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024 .06
문화콘텐츠의 인정 효과 :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1920-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 .07
종교적 정체성에 따른 여성 예비교사들의 성소수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017 .06
복잡계 관점에서 본 학생인권조례의 성소수자 문제 및 접근 과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3 .02
성소수자에게 인권은 목숨이다 - 무지개 농성 6일 간의 기록
여/성이론
2015 .05
교도소 내 성소수 수용자 처우 현황 및 개선 방안
안전문화연구
2021 .09
성소수자 인구, 커뮤니티를 그리는 작업에서 마주치는 문제들 :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를 중심으로
여/성이론
2015 .05
성소수자를 상담한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요약
질적탐구
2023 .06
엔터테인먼트의 미디어 활용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2020 .12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 담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2020 .12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의 미래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2020 .12
성소수자(LGB)의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성정체성을 중심으로
질적탐구
2018 .01
엔터테인먼트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AI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2024 .12
정신건강 2요인 모델 타당화 연구: 젊은 성소수자(LGB)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19 .01
삶의 향유와 엔터테인먼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2017 .12
엔터테인먼트업의 고성과작업조직 : ANP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21 .02
웰빙과 웰다잉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산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