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기초자료 기초자료 제19권 제2호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1 - 22 (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 캐나다는 USMCA 타결로 미국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유지하면서 중국과는 경제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해 노력 - 캐나다의 10대 교역상대국 가운데 중국, 인도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USMCA, CPTPP, 양자간 FTA로 경제협력 관계를 맺고 있어 실질적으로 캐나다가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중국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중요함. - 다만 USMCA의 회원국과 비시장국 간 FTA 체결조건 강화 조항으로 인해 향후 중국과 FTA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긴밀한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캐나다 정부의 주요 대미 통상 현안으로 USMCA 비준,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철폐, 자동차 원산지 규정 강화 등이 있음. - 2018년 11월 30일 서명한 USMCA 비준과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철폐를 연계하여 처리한다는 방침임. - 캐나다 정부는 미국의 캐나다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는 USMCA 협정의 정신에 위배될 뿐만 아니라 협정의 잠재력을 훼손하는 조치라는 입장 - USMCA의 자동차 원산지 규정 강화로 캐나다 자동차 부문에서 미국산 부품의 사용 비중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 ▶ 중국은 캐나다산 펄프 반덤핑 관세 부과, 캐나다 곡물기업의 카놀라씨 수출면허 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캐나다 정부는 불합리한 조치라는 입장 -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가 캐나다 공항에서 체포(2018년 12월)됨으로써 캐나다의 대중국 농산물·에너지·목재 수출과 중국의 대캐나다 투자가 보류되고 있음.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