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형마트들 중심으로 PB제품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형마트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입할 때 PB 제품을 또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하길 바라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여전히 PB제품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이다. 즉 소비자마다 각기 다른 평가를 내리고 있다. 본 연구는 PB제품의 만족도를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격만족도, 품질만족도, 안전성만족도의 3가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소비자들의 PB제품 만족도 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이 PB제품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보았다. 조사방법은 전국 3개 대형마트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20세 이상의 성인 1,000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로 조사는 2011년 9월 8일 ~ 9월 19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PB제품의 가격 만족도, 품질 만족도, 안전성 만족도에서는 연령, 학력, 직업, 월소득, 결혼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학력에서는 고졸 이하 집단이 대학 원 이상 집단 보다 품질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안전성 만족도에서는 고졸이하 집단과 대졸 집단이 대학 원이상 집단 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재구매의도를 살펴본 결과, 학력에서 고졸이하 집단과 대졸집단이 대학원 이상 집단 보다 재구매의도 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PB제품의 재구매의도에 대한 제 변 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해 본 결과, 가격 만족도, 안전성 만족도, 품질 만족도 변수가 PB제품의 재구 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PB제품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가격, 품질, 안전성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PB제품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재구매할 수 있도록 다양한 PB제품 개발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업계에서는 PB제품의 만족과 재구매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요 소비계층인 20~30대에게도 가격, 품 질, 안전성의 만족도를 높여 재구매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에 서는 다양한 정보채널 구축을 통해 고품질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도록 중립적인 선택 비교정 보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PB products are being expanded, led by large marts. Although large marts wish that con- sumers will recognize PB products as yet another brands when they buy them, consumers have neu- tral reaction to PB products. Consumers assess them differentl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PB product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d price satisfaction, quality satisfaction and safety satisfaction.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nsumers' PB product satisfaction and their so- 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ir intention to repurchase PB products. For the methodology, 1,000 adult consumers aged 20 years or older who experienced three large marts nationwide were survey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8 to September 19, 2011.
Research first found tha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occupation, monthly income and marriage or non-marri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ice satisfaction, quality satisfaction and safety satisfaction for PB products. Notably, for education, the group of high school or lower-educated people had greater quality satisfaction than the group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ed people. The group of high school or lower educated people and the group of university educated people had greater safety satisfaction than the group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ed people. Thus,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for the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terms of education, the group of high school or lower-educated people and the group of university educated people had a greater repurchase intention than the group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educated people. Thus,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ables on the intention to repurchase PB products found that price satisfaction, safety satisfaction, and quality satisfaction variabl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PB products.
From this analysis were drawn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consumers of PB products intended to repurchase PB products if the price, quality and safety satisfaction was greater,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PB products and to prepare a system designed for improving quality in order to get consumers to continue to use PB products. Second, in order to boost PB product satisfaction and repurchase, the industry should devise market strategies designed to motivate the major consumer group of people in their 20s to 30s to repurchase PB products by increasing price, quality and safety satisfaction. Lastly,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diverse information channels designed to provide neutral comparative information to allow consumers to buy high quality products at low pr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