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청년문화는 왜 하필 1970년대였을까?
인물과사상
2016 .02
청년 ‘행위’의 정치성과 그 저항 (불)가능성에 대하여 : 영화 <바보들의 행진>을 중심으로
코기토
2017 .02
[영화를 읽다] <우리들>
유레카
2016 .11
취업준비생에서 청년노동자로 : 2000년대 이후의 청년노동
문화과학
2019 .06
위기에 빠진 것은, ‘청년’이 아니라 ‘사회’다
황해문화
2019 .06
1930년대 중국현대소설과 영화에 나타난 청년표상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08
‘청년’의 삶에 드리운 빛과 그림자 - 문학작품에 드러난 청년의 이야기
문학들
2019 .11
너도 하고 나도 하는 ‘청년팔이’에 대한 소고
문학들
2019 .11
영화 ‘원더풀 라이프’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 질문 만들기 전략을 중심으로 -
동아인문학
2019 .06
청년의 초상과 청년교육 : 『조광(朝光)』을 중심으로 본 전시체제기 교육담론
역사연구
2023 .05
한국 ‘B급 영화’ 정체성 탐색을 위한 비평장 고찰 : 전통적인 미국 “B movie” 개념과의 비교를 통해
인문콘텐츠
2015 .06
선포중심의 청년선교신학
선교와 신학
2021 .06
우리 사회의 증상으로서의 청년
황해문화
2019 .06
[영화를 읽다] 잘 지내고 계신가요?
월간에세이
2022 .03
영화를 찍다
수필미학
2016 .12
체홉과 영화
한국노어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2016 .10
[영화를 읽다-10회] 나는 좀 살아야겠다
월간에세이
2022 .10
[영화를 읽다-19회] 굽이굽이 돌아도 멈추지 않는다
월간에세이
2023 .06
[영화를 읽다] 해는 졌지만, 나는 지지 않았다
월간에세이
2022 .01
박찬욱의 <헤어질 결심>에 나타난 영화의 자기반영성
비교문학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