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한의학원전학회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제31권 제3호
발행연도
2018.1
수록면
77 - 97 (2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목적 : [千金翼方·傷寒]은 중요한 판본임에도 널리 소개되지 않았고, 그 연구도 활발하지 않았다. 이에 논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千金翼方·傷寒]의 특성, 판본들 간의 관계, [傷寒論] 전승과정에서 [千金翼方·傷寒]이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千金翼方·傷寒]을 중심으로 한 논문과 [玉涵本], [宋本]을 함께 비교하는 논문 등 여러 논문을 참고하고, [千金翼方·傷寒], [唐本傷寒論校注]를 기준으로 조문 번호를 부여하여 [傷寒論]의 다른 판본과 구체적으로 비교 하였다. 연구결과 : 孫思邈은 [傷寒論]에 “以法方類證, 方證同條 比類相附”하는 변화를 가져왔다. 太陽病篇을 湯證별로 정리하고, 太陽病 篇名을 「太陽病用···湯法」으로 하였다. 痓·濕·暍을 「太陽病用桂枝湯法」 조문 앞에 두고, [玉函本]의 厥陰病과 利嘔噦病을 合하였다. “傷寒宜忌” 제목을 宜忌篇 앞에 두어 三陰三陽篇과 구분을 뚜렷이 하였다. 三陰三陽篇과 宜忌篇에 [宋本]에는 결여된 조문을 다수 보존하고 있다. 연구결론 : [千金翼方·傷寒]은 北宋 校正醫書局에 의해 보존된 주요 [傷寒論] 판본 중 하나이고, 明·淸代를 거치면서 독립 단행본이 되었다. 3C, 7C, 11C라는 800여년의 시간 축 가운데에서 [傷寒論] 전승 과정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千金翼方·傷寒], [玉涵本], [宋本]의 三陰三陽篇과 宜忌篇 조문 비교는 세 판본이 하나의 祖本에서 출발하였으나, 이후 分岐되었고, [千金翼方·傷寒]이 [玉涵本]과 더 가까운 연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다. [宋本]에서 결여된 三陰三陽篇과 宜忌篇의 조문은 오늘날 통행본인 [宋本]의 판본적 결여를 보완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