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8명의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어전담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거나 기피하는 요인들을 분석했다. 나아가 유능한 초등 영어전담교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총 3회에 걸쳐 수집된 심층면담 자료는 내용분석을 활용해 질적으로 분석되 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에 대한 교사의 높은 관심은 영어전담교사를 희망하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또한, 유용한 영어·영어 교수 관련 교사연수나 동료교사와의 협력적인 관계, 학생 들의 적극적인 수업 태도와 전담교사의 융통적인 시간 운용도 영어전담교사를 희망하는 요인으로 밝 혀졌다. 둘째, 영어 및 영어교수능력이 부족한 경우 영어전담교사를 기피하려는 경향이 가장 컸다. 또 한 교수인력간 비효율적인 업무 분배, 승진 관련 가산점과 성과급에서 담임교사와 차별받는 처우, 학 생들의 수준 격차와 학생 관리의 어려움은 교사들에게 영어전담교사를 회피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셋째,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전문성 확보와 효율적인 수업 운영을 위해서 면담 교사들은 영어교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적합한 영어전담교사를 선정해야 하며, 예비교사교육 및 영어 연수 강화, 영어 원 어민 보조교사의 활용, 영어 수업 공간 및 자료가 마련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의 영어 및 영어교수능력은 영어교과전담의 희망 및 기피요인과 개선방안에서 가장 중요한 개별 요인으 로 드러났다. 전반적으로 영어전담교사에 대한 희망, 기피 및 제도 개선방안에서 나타난 요인들은 학 교맥락, 교사교육, 교사개인, 교사정책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전담교사제도의 현황 파 악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이 4가지 범주들을 고루 검토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 등학교 영어전담교사 제도와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attract so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he English subject teacher position while prompting others to actively avoid it. It also examines the suggestions for the English subject teaching system. Eight elementary English subject teachers were interviewed over three sessions, and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igh interest in English was cited as the primary factor in applying for the English subject teacher position. Other contributing factors include useful teacher train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students’ active learning attitudes, and the subject teachers' flexible teaching schedule. Second, teachers lacking in English or English teaching skills tend to avoid the English subject teacher position. Additional reasons include ineffective allocation of English teaching, incongruent point system used for promotion, the level gap between students, and the difficulty of managing students. Third, suggestions for the English subject teaching system include choosing English subject teachers based on their expertise, providing appropri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using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effectively, providing a separate space and diverse materials for English lessons. In particular, the teacher’s English and teaching skills appear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wanting or not wanting to become an English subject teacher. Overall, the factors are related to the institution, teacher education, the individual teachers, and teacher-related policies. Thus, these four categories should be consider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the English subject teaching system and its areas for improvement.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elementary English subject teacher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