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1920년대 開闢社의 조선지식 수집과 조선연구 토대 구축 - ‘조선문화 기본조사’의 추진과정과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19 .06
조선 반도 최초의 관광잡지『관광조선(觀光朝鮮)』연구-조선 반도 영화를 중심으로-
日本思想
2024 .08
식민지 도시계획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와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 재검토
도시연구
2017 .04
일제 말 대중 잡지에서 보이는 ‘조선’이라는 공간인식 : 『관광조선』과 『모던일본 조선판』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영화 <남한산성>: 조선의 글과 청의 길
세계와선교
2017 .12
식민지 조선 후기 국경기행 연구― 《관광조선(?光朝鮮)》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1 .08
연변대학 조선언어 연구방향 석사학위론문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2016 .07
한중일 삼국의 근대국제관계 - 청일전쟁
동방학
2018 .01
안확의 ‘조선’ 연구와 문명의 발견
한국철학논집
2017 .02
조선근대사료연구회와 전후 일본의 ‘조선근대사’ 연구
史叢(사총)
2022 .05
시가 나오야(志賀直哉)의 조선(朝鮮)인식 - 1920년대 작품 속 조선 이슈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21 .01
신미양요와 청의 조선 정책
중국근현대사연구
2021 .09
조선후기 일본지식 생성자로서의 통신사 역관 연구
한국문학논총
2018 .01
조선 전기 불상 특징과 조선 후기 17세기로의 이행
한국중세고고학
2019 .12
조선시대 불교사 시기구분 시론
불교학연구
2015 .01
근세 조선의 형성 : 나의 책을 말한다
역사와현실
2019 .09
19세기 후반, 연행사와 청 문인의 교류양상
동국사학
2016 .01
1598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전쟁국면 調整
史叢(사총)
2024 .09
조선 후기 조·일 교류에서의 문(文)·무(武) 대응 연구
인문과학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