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통역번역학회 통역과 번역 통역과 번역 제11권 제2호
발행연도
2009.1
수록면
3 - 19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various types of "translationese” found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and present useful translation strategies that can be employed to enhance the readability of the target language text. First, this study explores and accommodates the diverse perspectives related to translationese. Based on a clearer notion, this paper looks into the individual types of translationese-translationese related to pronouns, plural endings, and non-animate subjects. This paper will also provide "model translations” so as to suggest ways to keep the target language natural in translated texts. The data that serves as a basis for the explanation is taken from the translation of novels; translationese found in such genre often undermines readability, without which a novel cannot serve its function. The author hopes th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riggering further discussion on the study of translationese and to offering guideline for those in the translation profession.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