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 일본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비교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5 .10
초등학교 6학년 영어 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영어영문학
2015 .05
초·중·고등학교 영어 읽기지문의 난이도와 연계성 분석 연구: 2015 개정 영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영어교과교육
2021 .11
영어교과서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영어영문학
2022 .08
Korea’s Language Policy Responses to Globalization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2018 .01
중등 영어 듣기 수업에서 e-교과서의 활용과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15 .01
코퍼스 기반 한·중 초등영어 교과서 비교
초등영어교육
2021 .12
중학교 1·2학년 2015 개정 영어교과서 읽기 자료의 가독성 분석과 아동문학 선정 연구
영어교과교육
2019 .01
2015 개정 5-6학년 영어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2015 개정 3-4학년과 2009 개정 5-6학년 영어교과서 문화내용과 비교하며
영어교육연구
2021 .09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중등 영어교과서의 읽기 지문 연계성 분석
현대영어영문학
2019 .01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3rd Grade English Textbooks from China and Korea
영어영문학21
2015 .0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언어 형식 분석
영어학연구
2019 .01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교과서 로마자 표기 실태 분석 및 제안: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중심으로
언어학
2016 .01
2015 개정 초등 6학년과 중등 1학년 간 영어 교과서 의사소통 기능의 연계성 분석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0 .01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어휘의 진정성 분석
영어영문학
2017 .08
2015 개정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교육 양상 분석
사회언어학
2021 .01
2009개정 교육과정용 초등 5·6학년영어교과서의 문화요소
영어영문학
2016 .02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 분석: 초등 5,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1 .09
An Analysis of Lexical Element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0 .10
면담과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핀란드 영어교육의 시사점
언어학 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