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중국학회 중국학 중국학 제39호
발행연도
2011.1
수록면
75 - 96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女論語≫是由唐代宋若莘和宋若昭姐妹所纂的一部女性訓誡書籍。宋若莘根據儒教經典≪論語≫來作了≪女論語≫十章,後來宋若昭注解訂正了十二章,這就是現存的≪女論語≫。作者宋氏姐妹是獨身女性。根據≪舊唐書≫卷五二≪后妃傳≫和≪新唐書≫卷七七≪后妃傳≫,她們是書香門第,從小受到父親良好的教育之後,爲了揚名顯父,不結婚入宮作為學士先生。她们入宫之前寫成≪女論語≫。到了明末清初,王相把中国封建社會四種歷代代表性女性教育書(東漢的≪女誡≫,唐代的≪女論語≫,明代的≪內訓≫,≪女範捷錄≫)編輯在一本,起名為≪女四書≫。≪女論語≫全书共12章:〈立身〉、〈學作〉、〈學禮〉、〈早起〉、〈事父母〉、〈事舅姑〉、〈事夫〉、〈訓男女〉、〈管家〉、〈待客〉、〈和柔〉、〈守節〉,其核心内容主要包括:女性自身的修養,跟家人親戚鄰居之間的人人際關係和處世,家庭裏的家事和責任。全書的內容主要通過對比形式來強調著婦女要堅持的態度,這種表現手法除了第九章和第十二章以外,大部份都適用這種對比方式。還有書的特徵之一是先提示婦女們該遵守的賢婦的事項,然後告訴我們婦女“莫學”的內容。特別把懶婦、愚婦、蠢婦、潑婦等的特徵來,提醒著中國古代賢婦女性的生活態度。這種女性教導教材的出現,跟中國悠久的封建社會的傳統認識和文化有密切的關係。其核心有像“乾剛坤柔”、“男陽女陰”的傳統宇宙觀和把女子不太重視的儒學思想。向後對≪女論語≫的多樣的研究結果,讓我們提醒男女平等的意義和價值。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