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양현식 (숭실대학교) 오재욱 (숭실대학교) 김영한 (숭실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통신학회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한국통신학회지 (정보와통신) 제36권 제9호
발행연도
2019.8
수록면
55 - 62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클라우드 컴퓨팅은 4차 산업혁명의 인프라를 제공하는 중요 기술로 중앙의 데이터 센터에서 모든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고,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중앙 집중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모바일 네트워크,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사용 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Amazon, Google, MS 등 다양한 IT 기업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단말의 증가와 초지연을 요구하는 서비스등의 등장으로 인해 서비스를 분산처리 하여 지연을 줄이고 단말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엣지 컴퓨팅 기술이 등장하였다.
엣지 컴퓨팅은 중앙 집중형 데이터 처리형태가 아닌 단말과 가까운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 엣지 컴퓨팅 기술은 기존 클라우드 기술에 비해 단말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빠른 데이터 처리 및 네트워크 전송 시간 감소등을 통해 초저지연 서비스, 데이터 부하 감소, 그리고 보안 강화 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 때문에,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에서도 엣지 컴퓨팅 환경을 위한 플랫폼이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아마존에서도 엣지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는 Greengrass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IoT를 위한 엣지 컴퓨팅 서비스인 Azure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한편, 클라우드 플랫폼 환경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도 엣지 컴퓨팅 관련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먼저, 대표적인 클라우드 OS인 오픈스택에서는 엣지컴퓨팅 그룹을 구성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StarlingX 라는 엣지 컴퓨팅 환경을 위한 클라우드 OS에 대한 개발도 함께 시작되었다. AT&T에서는 엣지 컴퓨팅을 위한 오픈소스인 AKRAINO를 발표하고, 지속적인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OPNFV(Open Platform for NFV)에서는 현재 진행되는 다양한 엣지 컴퓨팅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 및 통합을 위한 패키징이 진행되고 있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은 컨테이너 생태계를 확산시키기 위해 2015년 만들어진 LF(Linux Foundation)의 산하 단체이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의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구글에서 시작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터인 Kubernetes가 있다. CNCF에서도 엣지 컴퓨팅 환경 구성을 위한 KubeEdg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LF에서는 IoT 환경을 고려한 Edge 컴퓨팅 환경을 구성 하기 위한 다양한 플랫폼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엣지 컴퓨팅을 중심으로 진행중인 다양한 오픈소스를 통해 현재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요구되는 요구사항 및 오픈소스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오픈스택 StarlingX
Ⅲ. LF EDGE와 CNCF KubeEdge
Ⅳ. 향후 계획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567-001254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