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세기 후기 중국 공상과학소설 속 비극성에 관한 고찰
중국어문학
2022 .04
루쉰의 중국 고대소설 연구 1 ― 《고소설구침》과 《당송전기집》, 《소설구문초》를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2017 .08
Computational Stylistic Analysis of Science Fictions by Female Writers
새한영어영문학
2022 .11
한・중 여성 SF소설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상 ― 『지구 끝의 온실』과 『작은 버섯(小蘑菇)』을 중심으로
한중언어문화연구
2024 .08
북한 ‘주체적 과학환상소설’의 장르적 특징 연구 - 황정상의 『푸른 이삭』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2016 .01
아동 과학소설에 형상화된 어린이:『기억 전달자』의 유토피아/디스토피아를 중심으로
영미문학교육
2015 .01
Fiction as Evolutionary Force in Richard Powers’s Generosity: An Enhancement
새한영어영문학
2019 .05
근대의 아포리아 -21세기 중국 SF에 재현된 기억, 망각, 환각의 메타포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2023 .04
과학소설에 기반한 융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 ‘눈먼 시계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7 .06
한국 서양과학사 연구와 교육, 그 관계 맺기의 정체성: 『한국과학사학회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020 .01
캐나다 아동청소년 과학소설: 198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영미문학교육
2022 .12
초창기 과학소설의 두 갈래 양상 『철세계』와 『비행선』
우리어문연구
2020 .01
선정소설 쓰기를 중심으로 본 Little Women
영어권문화연구
2024 .08
통속문화의 맥락에서 접근한 고전소설 교육의 방향
국문학연구
2018 .01
너의 미래를 알 수 있다면, 넌 오늘 어떻게 살 거니? : 과학소설(Science Fiction) - 미래를 상상하여 현재를 통찰하기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1 .07
계승과 통속-활자본 고소설의 존재방식에 대한 규명-
인문과학
2015 .01
한국 전근대 과학기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과학사학회지
2020 .01
과학 소설과 융합 교육
구보학보
2017 .06
한국 근현대 과학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 과학’에서 ‘과학 한국’까지
한국과학사학회지
2020 .01
記録とフィクション : 「3.11」以降の震災マンガにおける「災害」の表象
일본문화연구
2018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