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人謀」與「鬼謀」之合作:從「管理」的視域看≪周易≫
인문연구
2021 .12
이규보(李奎報)의 주역 인식 고찰 — 유가경전 및 자기 수양서로서의 주역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024 .02
『주역』의 상징성과 그 역사적 기원
온지논총
2017 .07
旁通과 融合 : 『周易』해석 空間의 확장과 연속
철학
2016 .11
주역의 연대적 길흉관 연구
동양철학연구
2020 .01
『周易』 「繫辭傳」의 ‘一陰一陽’과 ‘繼善成性’에 대한 조선 학자들의 주석 一考
한국한문학연구
2022 .04
다산 정약용의 주역 해석방법론 체계 - 易理四法, 三易, 「讀易要旨」 18則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7 .01
신후담(愼後聃) {주역(周易)} 해석의 특징 ?정주(程朱)역학, 성호(星湖)역학, 다산(茶山)역학 등의 해석을 상호비교 하며-
한국철학논집
2017 .02
『주역(周易)』의 역사(易詞) 형성과 서법(筮法)의 상관관계
종교연구
2018 .08
『주역』과 인공지능
철학연구
2018 .02
『주역』의 형세론에 기초한 맹자와 율곡의 역사인식 연구
율곡학연구
2022 .09
易學의 存在原理와 四象醫學의 生理
동서철학연구
2016 .09
『주역명의(周易明意)』의 비평적 접근
태동고전연구
2020 .01
<주역(周易)> 괘효사에 내포된 원시유학사상의 원형적 요소 -<주례(周禮)>의 제도적·문화적 내용을 참조하여-
태동고전연구
2017 .01
『주역명의(周易明意)』 발췌 번역
태동고전연구
2020 .01
吳澄의 『周易』 해석 방법론
온지논총
2017 .01
丁若鏞 易學의 ‘再閏之卦’ 硏究
한국민족문화
2017 .08
《周易》新解–解释《周易》的3个原则
태동고전연구
2017 .01
주역과 풍수 담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토폴로지
철학∙사상∙문화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