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동양학 동양학 제74호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39 - 53 (1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劉勰이 『文心雕龍』 「明詩」편에서 제기한 “嵇志淸峻”은 지금까지 다양한 해석을 낳았고 또한 많은 논란거리를 제공하였다. “嵇志淸峻”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혜강 시가의 풍격을 연구하는 데 선결 과제였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尚書』 「堯典」에서 시의 본질과 특징으로 규정한 “詩言志”, 『文心雕龍』 「風骨」편에서 언급한“風淸骨峻”, 그리고 「명시」편에서 혜강 시를 평가한 “嵇志淸峻”을 하나의 연결고리로 보았다. 그리하여 이상의세 가지 고리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폈으며, 이것을 통해 ‘志’와 ‘淸峻’의 함의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고, 더불어 기존의 주장과 학설을 제시하여 ‘志’를 언급한 유협의 의도와 이와 관련된 ‘淸峻’이라는 풍격의 함의가 무엇인지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志’는 곧 두 글자를 합친 ‘情志’ 즉, 개인의 감정과 의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淸峻’은 ‘맑고 밝다[淸明]’, ‘맑고 깨끗하다[淸亮]’, ‘맑고 고결하다[淸高]’, ‘맑고 산뜻하다[淸新]’ 등 여러의미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意氣駿爽, 則文風清.”과 관련하여서는 ‘명백하다[淸晰]’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또한 ‘峻’에 대해서는 원의가 ‘높다[高]’인데, 문장의 풍격과 관련지어 文辭의 內質美를 강조한 것으로, 힘이 있고 예리하며 냉정하고 신랄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志’에 대하여 깊은 의미를 두어, “嵇志淸 峻”을 “혜강의 작품이 淸峻한 情志를 담고 있다”라고 번역하였다. 따라서 ‘淸’의 의미는 종영이 託喩 기법으로본 ‘淸遠’보다는 인간의 품격으로 본 ‘淸高’함이 더 적절하며, ‘峻’의 의미는 ‘峻切’ 혹은 ‘峻烈’로 보았다. 또한풍격으로서의 ‘淸峻’은 맑고 고결하며[淸高] 준엄하고 격렬한[峻烈] 격조를 형상화하여 선명한 意象과 고아한 境 界를 이룬 것이라 볼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