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 滬, 도시의 기억
3. 游, 공간과 장소
4. 나오는 말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무스잉(穆時英)의 스파이 소설「G No.Ⅷ」연구 一 장르적 수용과 변주를 중심으로
한중언어문화연구
2023 .05
기호품의 수입과 도시문화의 변화 — 청말민초 상하이의 정백당, 커피 수입량 변화를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12
접경의 도시 상해와 ‘상하이 네트워크’ - 주요한(朱耀翰)의 ‘이동’의 궤적과 글쓰기 편력을 중심으로
구보학보
2019 .01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상하이 차관문화의 형성 배경
차문화산업학
2015 .09
上海外国人侨居空间特征分析 - 兼论上海“韩国社区”的移民文化
인문사회과학연구
2016 .01
근현대 상해 한인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10
1990년대 중국 상해의 역사경관 소비와 기억의 굴절
역사학보
2019 .03
19세기 중엽 ‘상하이 지식네트워크’에 대한 고찰
중국학
2018 .01
1932년 일본의 재상해한인 체포활동과 프랑스조계당국의 대응
사림
2017 .01
상하이국제영화제의 글로컬적 특징과 함의: 시스템 환경과 운영활동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6 .01
강노향의 상해 체험 문학 연구
민족문화연구
2018 .01
동아시아 근대 외국인 거류제도의 계보와 그 기원 -중국 ‘조계’ 모델의 탄생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24 .02
상하이의 공간적 실천에 관한 소고 : ‘광장’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15 .05
‘상하이 붐’과 중화권 세계의 현대화 서사 – 바이셴융(白先勇)의 『타이베이 사람들(臺北人)』에 대한 어우양즈(歐陽子)의 해석으로부터
공존의 인간학
2021 .08
1910~20년대 상해 한인과 조계 공간
역사학보
2015 .12
‘경계’의 개념으로 다시 읽는 상하이 도시문화 ― 20세기 초중반 상하이 도시문화 연구방법론 시탐(試探)
중국어문학논집
2024 .10
1920-30년대 상해 공공조계 행정 체계의 변화
중국근현대사연구
2022 .09
‘상하이(上海) 기억’의 소환과 혁명적 노스탤지어 : 심훈의 『동방의 애인』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9 .04
김광주 상해 체험소설에서 나타난 도시 공간
어문논총
2015 .12
1920-30년대 상하이의 협의서사 흥성 배경 ― 근대시기 동북아해역 인문네트워크와 상하이의 대중문화 (1)
중국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