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Hyun Chul Paul Kim (Methodist Theological School)
저널정보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구약논단 제25권 제4호 통권74집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18 - 58 (4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발표는 ‘구약성서와 디아스포라’ 라는 주제를 다루면서, 두 공통되고 연결된 ‘룻’과 ‘에스더’를 디아스포라로서 비교 해석한다. 이 두 인물들과 이야기들이 비춰주는 고대 성서시대의 디아스포라의 삶을 고찰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서 오늘날 한국과 미국과 글로벌 세계에서의 교회와 사회에 대한 관련된 메시지를 찾아본다. 룻과 에스더는 여러가지로 공통된 점들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로, 두 인물 모두 난민 또는 (강제)이주자로서의 고난과 트라우마를 겪는다. 둘째로, 두 인물은 소수인종이요 여인으로서 차별과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셋째로, 역경의 위치에서도 두 인물은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대처하며 강인한 믿음과 용맹으로 인한 ‘헤세드’( חֶסֶד ) — ‘의리’와 ‘정’— 를 실행한다. 넷째로, 두 인물의 다른 이들과의 관계는 동족간이나 타민족이나 집단들 간의 관계를 상징한다고도 볼 수 있다. 다섯째로, 두 인물의 ‘의리’와 ‘정’의 결단과 행동은 룻을 새로운 ‘아브라함’이나 ‘사사(드보라)’, 그리고 에스더를 새로운 ‘요셉’과 ‘모세’와 ‘다윗왕’에 견주어 볼 수 있다.
본문상의 직접 또는 간접적 상호연결성에 있어서 많은 공통된 단어나 문구의 표현들을 찾을 수 있다. 메길롯(Megilloth) 다섯 권에서 (레닌그라드 문서에 의하면) 룻기와 에스더서가 대칭적으로 처음과 끝에 위치해 있다. 이는 남성성이 강한 모세오경에 비해서, 메길롯은 여성성을 강조함을 뜻한다. 특히 룻이 ‘과부’이고 에스더가 ‘고아’이며 둘 다 ‘이민자’라는 것은 당시 고대사회에서 가장 소외되고 멸시받는 신분의 인물들로서 그러한 위치에서 곧 백성의 영웅이고 구원자가 나온다는 놀라운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심지어, 표면적인 상반대적 차이점들 속에서도 찾을 수 있는 상호적 공통점은 천한 위치든지 특권적 지위든지 ‘헤세드’ 즉 힘없고 억눌린 자들을 위한 헌신은 두 여인을 가장 고귀하고 존경받는 위치에 놓는다.
룻과 에스더가 전하는 ‘헤세드’의 의미는 결국 약자를 위하고 타자의 입장을 생각해야 함을 일깨운다. 그로 인하여 다양한 디아스포라에 있는 자들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20세기 일제시대때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서 희생하신 수많은 여성 및 남성 영웅들의 삶과 결단에서도 배울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우리 자신들과 주위에서도 신뢰와 공정과 투명한 교회의 모습, 정치적 관행, 그리고 공동체 지역사회를 이루어야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볼 수 있다.

목차

1. Two Diasporic Heroines and Their Intertextual Connections
2. Hermeneutical Implications of the Diasporic Readings
3. Conclusion
4. Bibliography

참고문헌 (6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