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일본인 반전동맹의 결성과 반전문예 활동
Ⅲ. 조선 “삼일운동” 서사
Ⅳ. 반전동맹의 조선의용대 서사
Ⅴ. 동방 반파시스트 연대의식의 형성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아시아 현대문학 속의 한국 항일영웅 서사
아시아문화연구
2017 .12
가지 와타루(鹿地亘)의 反戰反帝運動과 朝鮮 - 조선 관련 저작과 조선의용대와의 연대를 중심으로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08
‘조선의용대’ 관련 항일서사에 대한 문화적 고찰 : 『전선에서의 조선의용대』를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17 .12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언설의 변화와 새로운 동향 - 중국의 항전연구 강화와 한중공조에의 함의 -
한중관계연구
2017 .01
试探菲律宾华侨的抗日与华文抗战文学的特点
한중언어문화연구
2021 .11
중국·조선·한국 항일시가 비교연구 -최삼룡의 『항일시가집』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보
2022 .12
항일 무장 독립 투쟁사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교수 방향
역사교육
2020 .09
중국조선족 항일가요의 혼종성과 과도기적 정체성
중국문화연구
2022 .11
한국인의 항일투쟁과 현대 중국의 한국인 제재 시가 창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1 .1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소비에트러시아 외교관계의 형성과 독립외교 전개 그리고 ‘비밀군사협정’
재외한인연구
2021 .06
조선의용대 항전문예 활동에 대한 고찰
한중인문학연구
2020 .01
中日戰爭時期 中國內 韓人武裝組織의 抗日戰略과 戰後構想 -言論動向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19 .01
『노마만리(駑馬萬里)』의 타이항산 항일 근거지 재현 양상에 대한 문학지리학적 분석
로컬리티 인문학
2020 .04
1930년대 후반 동북항일연군의 활동과 在滿韓人 - 동북항일연군의 (한·중)민족연합적 성격 再論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8
현대중국의 正義戰爭論의 형성과 전개 — 항일전쟁에서 항미전쟁까지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1 .12
대한민국 임시정부 류저우 시기 극예술 활동과 ‘한중연대’ 형상화 연구 - 단막극 「국경의 밤」 작가 필사본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3 .03
석음 박노술의 시대인식과 항일행적
남도문화연구
2022 .04
중일 전면전쟁 발발 직후 국민정부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그 성격 -조선의용대 창설·운영에 대한 군통·군사위원회의 “지원”과 대적선전전(對敵宣傳戰)에의 “동원”-
역사학보
2024 .06
1940년 부산 항일학생의거의 인식에 대한 고찰
인문학논총
2016 .02
일제시기 중국에서 출판된 조선인 저서에 대한 고찰
한중인문학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