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푸른 눈의 목격자’와 무구한 그들
2.‘ 독일 비디오’에서 〈26년〉까지
3. 서민 영웅, 노스탤지어, 그리고 소녀
4. 소시민의 각성과 광장의 윤리
5. 에필로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알리바이 외 1편
문학들
2017 .08
역사를 넘어서는 장르적 상상력의 한계 : 〈군함도〉와〈택시 운전사〉
문화과학
2017 .12
[영화읽기] 옳은 일, 해야만 하는 일에 관한 우리의 입장 〈택시운전사 (장훈, 2017)〉
제3시대
2017 .09
백 원 택시 외 1편
시조시학
2022 .09
하나님과 세계 앞에 참회하는 교회
세계와선교
2015 .09
영화 〈택시운전사〉의 서사전략
인문콘텐츠
2019 .06
[트릭의 재구성] 방화범의 알리바이
계간 미스터리
2022 .12
5·18민주화운동의 영화적 재현 - 광주 비디오를 넘어 다시, 광주로
문학들
2020 .02
상담심리학에서 본 참회와 불교의 참회법
불교문예연구
2017 .02
하느님 나라와 오월의 절대공동체
신학전망
2015 .09
[미술] 말 건네는 그림 : ‘노원희’를 읽는 미학의 알리바이
황해문화
2023 .12
1979~1980, 부마와 광주민중항쟁의 문학 담론
인문학연구
2021 .08
4 · 3항쟁과 4 · 16 참사 사이에서
인물과사상
2018 .05
참회의 신학 ― ‘메모리아’와 ‘포살’에 관한 기독교와 불교의 대화
신학사상
2024 .09
광주 사람에게 ‘5월’을 묻다
문학들
2022 .02
[정치] 87항쟁 30년 : 한국 민주주의 실험의 지속 필요
자음과모음
2017 .06
제발트의 ‘문학’과 광주
문학들
2022 .11
광주항쟁과 초국적 후원 네트워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3
6월항쟁 이후 30년간 문화운동이 걸어온 궤적
문화과학
2019 .11
역사 왜곡에 대한 저항으로서 5.18 영화와그 사회 치유적 힘
문학치료연구
2018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