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패션 사진은 독립적인 예술 장르로서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와 여성 이미지에 대한 담론의 장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스티븐 클라인의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에 재현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시대의 패션 사진과 여성 이미지에 대한 담론의 장을 확장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첫째, 패션 사진의 개념과 특성, 패션 사진과 여성 이미지, 스티븐 클라인의 작품 세계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둘째, 사례 연구는 스티븐 클라인 에디토리얼 패션 사진의 여성 이미지 유형을 분류하고, 작품 주제, 모델 포즈와 표정, 의복과 스타일링, 분위기 등을 중심으로 시각적 표현 특성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티븐 클라인의 패션 사진에 재현된 여성 이미지 유형은 전통적 여성 이미지 재현과 이를 해체하고 전복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전통적 여성 이미지 재현은 고정 관념적인 성 역할 수행, 남성 응시의 대상으로서 관음과 섹슈얼리티 강조, 구속과 속박의 이미지로 종속화된 여성 이미지를 나타냈다. 전통적 여성 이미지 해체는 이미지화된 남성적 몸, 성적 지배 권력의 주체인 여성, 다면적인 성적 욕망의 표출, 마스크나 기계화된 사이보그 이미지로 모호한 성 정체성을 표현함으로써 정형화된 여성의 젠더 이미지를 탈피하였다. 결론 스티븐 클라인의 패션 사진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는 급변하는 패션 환경에 부응하면서 차별화된 미학을 제시하고 여성의 젠더 이미지 확장을 시도하였다. 앞으로 여성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변화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며, 패션 사진의 언어를 통해 표현의 장이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Fashion photograph sets up a discursive field about feminine image, not to mention manifold visual image as an independent art gen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minine images presented on editorial fashion photograph by Steven Klein and help to extend this discursive field about modern fashion photographs and female images. Method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both used as research method. First, review was taken o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about fashion photo, fashion photo and female image, and Steven Klein's artwork world. Second, in case study, female imag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 confined to Klein's editorial fashion photographs and then analysis was followed about visu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based on work theme, atmosphere, model's pose, look, and position, clothing and styling. Result Female image types given in Steven Klein's fashion photograph were broken down into representation, deconstruction, and overturning of traditional female image. Representation of conventional female image was featured as stereotyped role play of sex, voyeurism peeped by male gender and emphasis on sexuality, and subordinated feminine image in the form of bondage and restraint.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female image appeared as escape from standardized female gender image expressed in ambiguous sexual identity by making use of manlike image body, female as sexually superior power identity, many sided revelation of sexual desire, and adoption of face mask or mechanized cyborg image. Conclusion Female images featured in Steven Klein's fashion photograph give hints about catching up to fast changing fashion environment, providing differentiated aesthetics, and trying to extend the female gender image. Hopefu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cognition and mindset toward female image will be continuously changed and that the expression realm will be also ext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