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이보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유효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서울대학교 생활과학 연구소)
저널정보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의류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행연도
2010.1
수록면
60 - 60 (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고고유물에 사용된 염료의 동정(同定)과 분석은 인류 문화사적 측면에서 의의가 크나, 그의 정확한 분석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염직유물의 경우, 시간과 환경에 의한 노화(老化, aging) 및 퇴화(退化, degradation)가 직물과 염료 모두에서 일어나며 이로 인해 샘플링에 많은 제한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을 극복하고자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첨단 표면 분석 기술인 TOF-SIMS를 응용하여, 염직 유물의 극미량, 비파괴적 분석의 가능성 및 한계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유물 분석의 최대 제한점인 샘플링의 한계를 보완하고 다양한 분석법을 통해 비교하기에 충분한 양을 확보하기 위해 실제 유물이 아닌 인공 광 퇴화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천연 염색한 후 일광과 유사한 광원에 노출시켜 광화학적 퇴화를 유도한 샘플을 대상으로 각각 Spectrophotometer, ATR-FTIR, TOF-SIMS를 이용한 분석을 실행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 퇴화된 염직물을 대상으로 한 육안관찰 및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색상 분석 결과, 색의 변화 추이 및 원래 색의 계열을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FTIR과 TOF-SIMS분석 결과 비교의 주안점을 찾을 수 있었다. 2. ATR-FTIR분석에서, 초기 염직물 및 퇴화된 염직물에서 염료성분 및 염료 성분의 변화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없었다. 이는 바탕직물과 염료를 분리하지 않고 직물 자체를 시험하였을 때, 유기물인 직물과 역시 유기물인 염료성분 간에 공통된 정보가 많아 그 구별이 정확히 지어지기 어렵고, 또 초기에 염착된 염료성분의 양이 매우 적은 데에서 비롯한다. 3. TOF-SIMS를 이용한 분석에서, 홍화를 제외한 치자와 쪽 샘플의 초기 염색물 및 퇴화물 모두에서 염료성분을 성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염료성분의 세기(intensity)가 감지되었다. 홍화 샘플의 경우, 주색소인 카타민의 분자량이 커 측정 범위 내에서 검출되지는 않았으나 그 토막 이온들이 검출됨으로써 원래 성분을 유추할 수 있게 하였다. TOF-SIMS분석을 통해 염료를 따로 추출하지 않고 염직물 자체를 측정하여 표면의 미량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초기 염색물뿐 아니라 육안으로 색을 판별할 수 없는 단계 이상으로 인공 퇴화된 염직물에서도 물질 고유의 분자량 이온피크와 그 세기(intensity)를 통해 염료성분의 정성/정량 분석이 용이하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