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김현경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전공)
저널정보
한국의류학회 한국의류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의류학회 2000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발행연도
2000.1
수록면
28 - 28 (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꽃이 지닌 색채특성을 조사하고 꽃의 색채로 전달되는 이미지를 복식으로 조형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꽃의 색상별 특성과 그에 따른 이미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KS 관용색, 일본 신색명사전 및 팬톤색표집 등의 색채 전달도구와 유행예측색에서 꽃이름으로 제시된 색채를 조사하였고, 자연에서의 꽃의 색은 COS를 이용하여 시감비색하여 측정한 후 꽃의 색채 특성을 고찰하였다. 꽃의 상징적 이미지는 문헌 고찰에 의하여 우선 꽃이 전달하는 대표적인 이미지를 분류한 후 색채 이미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색채에 따른 꽃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현대복식에 표현된 꽃의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패션트랜드를 자연주의와 낭만주의로 구분하여 현대복식에서 꽃의 이미지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꽃의 색과 이미지를 표현하는 복식 디자인을 전개ㆍ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꽃의 색채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색채 전달도구, 유행예측색, 자연에서의 꽃의 색은 공통적으로 R, Y, PB, P, RP 계열의 색상에 주로 분포하였다. 관용색과 실제 자연에서 측색한 꽃은 bright, strong, vivid의 화려하고 밝은 색조가 우세한 반면, 패션에서 사용되는 꽃의 색은 중간채도 영역의 수수한 이미지의 색조가 특징적이었다. 2) 꽃의 상징적인 이미지는 아름다움, 사랑, 번영, 기원, 순결, 영원, 부정적인 이미지 등으로 크게 분류되었다. 색채에 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 색채에 따른 꽃의 이미지는 빨간색 꽃의 사랑, 정열, 활력의 이미지, 노란색 꽃의 희망, 우정, 질투의 이미지, 파란색 꽃의 심원하고 무한한 이미지, 보라색 꽃의 고귀하며 우아하고 아름다운 이미지, 흰색 꽃의 순수, 순결한 이미지, 검정색 꽃의 엄숙하며 침착하고 세련된 이미지로 분류되었다. 3) 꽃이 중요한 표현매체로 사용된 자연주의와 낭만주의를 중심으로 꽃의 이미지를 표현한 복식의 특성을 고찰한 결과, 우아하며 여성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곡선적인 디자인, 꽃 모양의 장식이나 트리밍으로 입체화시킨 꽃의 조형성 등으로 표현되었으며, 빨강, 노랑, 보라, 분홍 계열이나 깨끗한 이미지의 흰색 꽃이 지닌 밝고 화려한 또는 연하고 부드러운 색채의 사용도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4)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꽃의 색과 이미지를 전달하는 복식디자인 제시하였다. 자연주의 및 낭만주의를 반영하였고 "빛의 선물, 낭만의 정원(Gifts of Light, Romantic Garden...)"으로 컨셉을 정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사랑과 정열의 이미지를 붉은 장미로 표현한 장미의 정원(Rose Garden), 우아한 아름다움과 향기로운 보라색 꽃의 이미지를 향기의 정원(Aroma Garden)으로, 마지막으로 순결하고 고귀한 미의 신부를 상징하는 칼라를 소재로 신부의 정원(Garden for the Bride)의 소주제에 따라 복식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