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경민 (고려대학교 생물공학과) 임왕진 (고려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황세영 (고려대학교 생물공학과)
저널정보
한국응용생명화학회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제36권 제3호
발행연도
1993.1
수록면
184 - 190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hodobacter sphaeroides 균주가 생산하는 ${\delta}-aminolevulinic\;acid(ALA)$의 생산성에 관하여 in vivo, in vitro 상에서 기질 및 관련 화합물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C_5\;ALA$ 생합성계에 의한 ALA yield 대비의 $C_4$ 생합성계에 의한 비율은 in vive 상에서 0.78인 반면, in vitro 상에서의 비율은 1.37이었다.$C_4\;C_5$ 각 계의 기질 첨가 배양에 의한 cell-free system의 $C_4,\;C_5$ 계의 발현도는 미첨가 배양에 의한 system과 비교하여 각각 1.35, 1.52로 증가하였으나, 증가한 계에 대한 상대계의 발현도가 억제되어, $C_4$ 와 $C_5$ 계가 각각 0.91, 0.83으로 나타났다. ${\gamma}-Glutamyl\;derivatives$의 세포내 uptake rates는 L-glutamic acid를 기준으로 비교해서 D-glutamic acid, 0.55: D-glutamine, 0.5: L-glutamine, 0.4: ${\gamma}-L-glutamyl\;ethylester$, 0.3: GSH 및 Glu-pNA, 0의 순서를 보였다. Uptake rate와 관계없이 in vivo 상에서 L-과 D-glutamine이 L-, D-glutamic acid보다 균체 외 ALA의 생산에 있어서 각각 높은 yield의 효과를 보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