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목차]
[01. 연구 설계 및 진행과정]
1. 연구 목적 및 범위
2. 연구 설계 및 진행
3. 연구결과 보고자료 설명
[02. 설문조사 결과 분석]
제1절 전반기 참여자 조사결과 분석
제2절 후반기 참여자 조사결과 분석
[03. 전, 후반기 참여자 면접조사 결과 분석]
1. 면접조사 개요
2. 인터뷰지
3. 주제분석
[04. 결론 및 함의]
1. 사업 참여자의 특성과 고려지점
2. 지원금 외 지원사업 참여도
3. 매니저 활동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17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참여자 분석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17 .12
2017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성과측정 및 효과분석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17 .12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2020년, 2021년 참여자 조사·분석 - 코로나 19 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21 .12
2017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참여자에 대한 2018년 추적조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19 .02
[PART 1] 서울시 청년정책 괜찮나_청년사업에 청년은 없었다
더스쿠프
2019 .05
2019년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사업 참여자 분석 연구 및 2018년 참여자 추적조사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20 .02
서울시 청년자산형성지원사업의 현황 및 개선사항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5
[PART 5] 한눈에 살펴본 서울시 청년사업_“◯◯사업이요? 이미 없앴어요!”
더스쿠프
2019 .05
청년들에게 꿈을 증여하기 : 서울시의 청년수당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7 .10
[토론문] 서울시 청년자산형성지원사업의 현황 및 개선사항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5
서울시 청년 주택 활성화 방안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06
서울시 근로빈곤청년 자산형성지원정책 현황분석 : 희망두배 청년통장사업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4
2022 청년 사회생활 지원실태 조사 사업
연구사업보고서
2023 .03
[Special Report 2 PART 1] 인터뷰 | 안암생활 입주민_“청년에게 걸어갈 수 있다는 건…”
더스쿠프
2020 .12
“그냥 쉬었다” 청년 44만 명, 그들은 왜?
노동법률
2024 .10
꿈을 가진 청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7 .10
청년들이 왜 떠나는데? 일만 하기 싫으니까!
국토
2021 .01
경상북도 청년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및 개선방안 : 청년관련 조례 및 청년활동공간사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23 .07
청년의 환경활동에 관한 자기평가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6
서울시 사회적기업 재정지원사업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