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역사교육연구회 역사교육 歷史敎育 第157輯
발행연도
2021.3
수록면
319 - 344 (26page)
DOI
10.18622/kher.2021.03.157.31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traditional contemporary affair reforms were raised in the process of solving contemporary and social challenges amid extreme social fluctuation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However, the reforms were based on the logic of ‘The mean in time’ (時中) and ‘change’ (變易) in the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contrary to the reforms of the preceding period. At the same time, It differs from the historical status and social meaning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bureaucrats in that it addresses the social challenges of the time but is based on philosophical principles.
The reform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transitional reforms represented by Yi Yi(李珥) and Kim Yuk(金堉) and the legal reforms represented by Yu Hyungwon(柳馨遠) and Yi Ik(李瀷). It stem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imes and the situation. Even after its opening in 1876, The reform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various ones.

목차

1. 수구·개화 이항 대립 틀의 허상과 맥락적 이해의 필요성
2. 시무론의 전통과 ‘時中’
3. 시무론의 확장과 변통적 시무개혁론
4. 변법적 시무개혁론의 대두와 좌절
5. 시무개혁론의 역사적 의미와 전망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