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동맹정체성과 동아시아
Ⅲ. FOIP의 등장과 구현화
Ⅳ. FOIP에 따른 한·미와 미·일 관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미동맹 여전히 튼튼한가?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6 .02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실태 비교: 동맹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전략
2015 .01
한미동맹의 동맹 딜레마와 향후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
국가안보와 전략
2016 .01
Network Turn of Alliance: From State Behavior to Network Structure
연구방법논총
2016 .11
흔들리는 국제질서, 동맹과 동맹체제의 변화 모습은?
계간 외교
2017 .10
한미동맹의 비대칭성과 동맹의 발전방향
정치정보연구
2016 .02
한국 국민의 한미 동맹에 대한 지지 변화에 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2015 .09
한미동맹에서의 자주와 동맹의 딜레마 분석
의정논총
2019 .01
동맹 흔들며 팽창하는 트럼프 한·미동맹은 괜찮나 : 경제적 개입과 군사적 관여 방향 적대세력서 동맹과 우방으로 옮겨져_한국, 동맹유지비 추가 지불하거나 ‘중국 견제’ 더 노골적 참여할 수도
주간경향
2025 .02
[발표] 트럼프의 동맹정책과 한미동맹의 변화
통일전략포럼 보고서
2024 .12
[토론문] 트럼프의 동맹정책과 한미동맹 변화
통일전략포럼 보고서
2024 .12
한미동맹의 쟁점과 과제
IFANS FOCUS
2020 .08
2023 한미동맹 국민인식 분석: 포괄적 동맹에 대한 기대와 우려
EAI 이슈브리핑
2023 .09
일본 동맹정책 변화: 충성과 배신의 틀을 중심으로
글로벌정치연구
2016 .01
상담 작업동맹의 이론적 이해 및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9 .01
U.S. Alliance Solidarity with S. Korea and Japan : 1993-2008
한국군사학논집
2015 .02
‘신(新) 영일동맹’의 전망:20세기 초 영일동맹과의 역사적 비교
주요국제문제분석
2022 .01
한미동맹 미래 발전방안: 향후 30년을위한 여정
한국국가전략
2023 .03
The Dual Faces of U.S. Alliances : Deterrence Effects and Vulnerabilities in Northeast Asia
국제정치연구
2023 .12
한미동맹과 조중동맹의 제도화 경로: 국가형성기 국면별 접근을 중심으로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