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01 부산지역 가족의 모습]
10가구 중 6가구는 1인가구와 2인가구
부부 가족 및 한부모 가족 증가 부부+미혼자녀 가족 감소
[02 부산지역 가족 실태 및 인식 변화]
전통적 성역할에 근거한 인식은 낮은 반면 일상적 평등에 대한 인식 높아
향후 출산할 의향 3.8%로 매우 낮아
돌봄에 대한 여성 책임 여전 조부모의 돌봄 비율 높아
집안일 전반적으로 아내 분담 높아
일·생활 균형 정도에 대한 인식 높은 반면,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시간 감소
자녀에 대한 책임시기 대학원, 취업, 결혼까지 더 길어져
부모 부양은 ‘부모 자신’이 해야 한다는 인식 더 높아져
코로나19로 인해 자녀 학습 지원에 어려움 경험
가족이 살기 좋은 부산에 대한 인식 상승
다양한 가족에 대한 정책 추진 필요성 높게 나타나
[03 부산시 가족정책의 방향]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홍보 강화 및 전달 기관의 역할 다변화
다양한 가족, 비전형적 가족에 대한 지원 확대
돌봄 공백에 대한 대안적 돌봄체계 강화
일·생활 균형을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강화
지속 가능한 가족을 위한 성평등 인식 확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부산지역 가족 내 성평등 이루어지려면?
부산여성가족 Brief
2019 .06
부산 시민이 바라는 여성복합공간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11
2021년 통계로 보는 부산여성가족의 삶
연구보고서
2021 .12
2023년 통계로 보는 부산여성가족의 삶
연구보고서
2023 .12
코로나19 속 부산여성가족의 삶,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요?
부산여성가족 Brief
2022 .01
그냥 가족
여성우리
2023 .04
부산지역 한부모가족 실태 및 지원방안
부산여성가족 Brief
2019 .09
코로나-19에 따른 부산여성가족 분야의 변화와 대응
부산여성가족 Brief
2021 .12
디지털성범죄 부산시민 인식 및 대응방안
부산여성가족 Brief
2020 .12
부산의 치매현황과 가족을 위한 지원과제
부산여성가족 Brief
2019 .03
부산지역 다문화가족 해체 현황 및 지원 방안
부산여성가족 Brief
2019 .12
시민과학과 시민참여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2017 .05
가족센터 이용자의 가족다양성 관련 가족서비스 이용 경험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23 .06
시민단체를 통한 가족교육 확대 방안 -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15 .11
부산 여성은 건강한가요?
여성우리
2019 .10
가족의 변화와 미래가족 모습
여성우리
2016 .10
부산지역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2024 .09
[부산여성가족정책포럼] 일 · 가정양립을 논하다
여성우리
2015 .06
디지털 사회 속 부산의 경쟁력 강화, 청소년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으로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05
「부산여성가족통계연보」로 본 여성의 건강
부산여성가족 Brief
2023 .01
0